관련연구(남) |
김동석, 「이기영의 『땅』 연구」, 『어문논집』, 51권, 2005. 김윤식, 「이기영의 『땅』론」, 『실천문학』, 20권, 1990. 김종회 엮음, 「이기영 소설의 반봉건성과 혁명의식:『땅』과 『두만강』을 중심으로」, 『북한문학의 이해 1』, 2002. 김한식, 「이기영 소설과 농촌 체험」, 『우리문학연구』, 41권, 2014. 류보선, 「이상화된 현실과 소설적 진실: 이기영의 『땅』」, 『한국근대문학의 정치적 (무)의식』, 서울: 소명출판, 2005. 박영식, 「이기영 장편소설 『땅』의 개작 양상 소고: 2차 개작본(1973)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3권, 2007. 박영식, 「이기영의 장편소설 『땅』에 나타난 계몽 담론 연구」, 『어문학』, 90권, 2005. 박영식, 「이기영의 장편소설 『땅』의 개작 양상 연구: 원작본과 11차 개작본을 중심으로」, 『어문학』, 96권, 2007. 박영식, 「해방시기 북한 장편소설에 나타난 계몽의 변증법: 이기영의 작품 『땅』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35권, 2007. 박영식, 『이기영 장편소설 『땅』의 개작 연구』,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07. 홍혜미, 「이기영의 『땅』 분석: 창작방법론을 중심으로」, 사림어문학회, 『사림어문연구』, 14권, 2001. |
관련자료(북) |
강능수,「우리 문학예술의 주인공(당 20주년, 《땅》의 대중적 영웅주의」, 『문학신문』, 1965년 10월 1일. 김수암, 「《땅》의 주인공들의 형상」, 『조선문학』, 9호, 1966. 리기영, 「땅과 곽바위」, 『우리조국』, 3호, 1956. 리기영,「땅에 대한 사랑」,『문학신문』, 1963년 3월 5일. 리기영, 「로력작업- 장편 ≪땅≫ 제2부 중에서」, 『문학신문』, 1960년 6월 17일. 리기영, 「작가의 말 《땅》2부에 대해)」, 『문학신문』, 1959년 3월 5일 . 리기영, 『땅(개간편)』, 평양: 조선인민출판사, 1948. 리기영, 『땅』, 평양: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48. 리기영, 『리기영 선집(12): 땅 제2부(조국해방전쟁 편)』, 평양: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60. 리기영, 『리기영 선집(9): 땅(제1부)』, 평양: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60. 한 효, 「장편 《땅》에 대하여」, 『문학예술』, 제3권 제6호, 1950. 한 효, 「장편 《땅》에 대하여」, 『문학예술』, 제3권 제7호, 1950. |
참고자료 |
사회과학출판사 편, 『문학대사전 4』,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