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딸 [Daughter]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회화 > 유화
9분류
작품
집필자
홍지석
시기
1965년
제작자
민병제
정의
<딸>(300×154㎝, 조선미술박물관)은 민병제가 1965년에 제작한 유화작품이다.
내용
유화 <딸>은 일제시대 고통받는 인민대중의 참상을 재현한 회화작품으로 빚값에 어린 딸을 지주에게 팔아넘기는 소작인 가정의 참상을 재현하고 있다. 작품에는 무릎에 엎드려 우는 애처로운 딸의 등을 어루만지며 울분의 눈물을 삼키는 어머니, 거만하게 문턱에 걸터앉아 달콤한 말로 어머니를 꼬이는 마름, 방 한쪽 구석에서 마름을 쏘아보는 병든 소년이 등장한다. 작품은 이렇듯 착취계급을 대표하는 마름과 어머니일가의 성격 대조를 부각시켜 극적 갈등을 고조시키고 있다. ‘제9차 국가미술전람회(1966)’에 출품되어 1등상을 받았다. 리재현은 이 작품을 긍정인물과 부정인물의 전형 창조, 사건의 내용을 함축한 계기의 설정 면에서 성공한 작품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한석호는 얼굴과 행동 표현을 통해 심리묘사에 성공한 작품으로 고평한다. 또 송효일은 2004년 『조선예술』에 발표한 글에서 이 작품을 회고하면서 “유화 <딸>은 창작된 때로부터 근 40년 세월이 흘렀지만 착취사회의 본질을 조형예술적 화폭 속에 예리하게 까밝힌 것으로 하여” 착취제도와 착취계급에 대한 끝없는 증오심을 유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작가인 민병제(1923~ ?)는 황해남도 삼천군 태생의 유화가로 일본 가와바타미술학교에서 수학했고 해방 후에는 중앙미술제작소 제작부장, 조선미술가동맹 선전지도원, 조선미술가동맹 자강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면서 <딸>, <분노>(1965) 등의 작품을 제작했다.
관련어
민병제
,
국가미술전람회
관련자료(북)
민병제, 「계급 교양 주제에 대한 나의 의견」, 『조선미술』, 제11호, 1965 .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증보판)』,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한석호, 「심리묘사의 정황과 계기」, 『조선예술』, 제11호, 1998.
송효일, 「유화 <딸>」, 『조선예술』, 제3호, 2004.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등대
이미지명 : 등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