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마지막 교실 [Last Classroo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회화 > 수채화
9분류
작품
집필자
홍지석
시기
1966년
제작자
김연성
정의
<마지막 교실>은 김연성이 1966년 제작한 수채화이다.
내용
<마지막 교실>은 김연성이 1966년 제작한 수채화이다. 이 작품은 북한의 관점에서 바라본 남한 학교의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작품은 남한 학교에서 교사가 경찰에 체포되는 장면을 형상한 것이다. 작가는 경찰과 교사, 경찰과 학생들의 대립 관계를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교사와 학생들 간의 친밀한 관계를 부각시키는 접근을 취하고 있다. 어지럽게 흩어진 의자들과 파손된 학교 물품들은 비극적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장치다. 북한 평론가 리재현은 이 작품이 남한사회의 “반인민성과 학원탄압 만행을 생동하게 보여주고 있다”면서 “인간의 심리묘사를 극적인 정황 속에서 보다 깊이있게 추구한 작품”이라고 높이 평가한다. 이 작품은 1960년대 북한미술에 유행한 소위 ‘남조선 현실주제’를 다룬 그림들을 대표하는 작품 가운데 하나다.
이 작품을 제작한 화가 김연성은 함경남도 흥남 출생으로, 평양미술대학 출판화학부를 졸업했고 이후 평양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주로 삽화, 출판화를 그렸다. 대표작으로 <마지막 교실> 외에 수채화 <전과보고>(1965), <건강진단>(1966) 등이 있다.
관련어
김연성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증보판)』,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이미지
마지막 교실
이미지명 : 마지막 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