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선문학통사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성수
시기1959년
제작자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문학연구실
정의
『조선문학통사』는 1959년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문학연구실의 집체작으로 집필된 상・하권 2권짜리 문학사이다.
내용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문학연구실의 『조선문학통사』 상・하권(과학원출판사, 1959) 서문에 따르면 이 책은 역사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진보적인 우리 문학에 담긴 애국주의, 인민성, 인도주의 전통과 해방 후 당의 문예정책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문학의 성과를 통사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상권은 원시 고대문학과 중세문학을, 하권은 1900년 이후의 근현대문학으로 시기 구분하여 서술하고 있다. 중세문학의 경우 세나라시기 문학, 발해·후기신라 문학, 고려 전후반기 문학, 조선 전후반기 문학으로 나누고, 근현대문학은 1900~1919년, ~1930년, ~1945년, 해방후 평화적 민주 건설시기 문학, 조국해방전쟁 시기 문학, 전후시기 문학 순으로 서술하고 있다.
『조선문학통사』는 1956년의 3권짜리 문학사와 마찬가지로 마르크스 레닌주의 이념에 입각한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학을 기반으로 서술한 문학사로 평가된다. 이는 사회주의문학의 보편성과 우리 문학의 특수성을 결합한 당시 북한 학계의 성과를 집성한 집체작으로 평가할 수 있다. 주체사상에 경도되어 문학사의 상을 왜곡 서술한 1970년대 이후의 문학사 서술과는 차별화된 진보적 민족 문학사의 예로 평가할 수 있다.
관련어 조선문학사(1956), 조선문학사(1977~1981), 조선문학사(김일성종합대학본, 1971~1982), 조선문학사(1991~2012),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문학연구실
관련연구(남)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문학사 인식』, 서울: 창작과비평사, 1991.
민족문학사연구소 남북한문학사연구반,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 서울: 소명출판, 2014.
참고자료 『조선문학통사』, 정주: 인동출판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