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천세봉 [Chon Sep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가
9분류
인물
집필자
김은정
출생일
1915년 2월 10일
사망일
198년 4월 18일
출생지
함경남도 고원군 덕지리
정의
천세봉은 북한 농민소설의 대표적 작가이다.
용례/관용구
인간성격과 생활을 섬세하고 진지하게 파고들어 묘사하며 특히 인간의 내면세계를 깊이있게 그려내는데서 솜씨를 보여주었으며 자연묘사를 비롯한 소설적인 묘사를 화폭같이 생동하게 하는 특기를 보여주었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천세봉은 1915년 2월 10일 함경남도 고원군 덕지리에서 머슴 집안의 외아들로 출생하였다. 보통학교를 마친 후 신문배달원, 운송점 탁송원, 하급 사무원을 전전하다 해방 후 고원군 자치위원회에서 일하게 된다. 1956년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으로 선출된 것을 시작으로 1958년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을 거쳐 1961년 작가동맹 소설분과 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1968년 4.15문학창작단의 초대단장으로 선출되었다. 1970년 제5차 당대회에서 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작가동맹 중앙위 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972년에는 최고인민회의 제5기 대의원 및 상설회의 위원, 1977년에는 중앙선거위원회 위원과 제6기 대의원 및 상설회의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천세봉은 1986년 향년 71세의 일기로 사망 직전까지 4.15문학창작단 단장직을 수행하였으며, 사후에 애국렬사능에 안치되었다.
천세봉이 창작을 시작한 것은 해방 이후로 처녀작은 장막희곡 <고향의 인상>이다. 이후 북조선문학총연맹에 가입한 후 1946년 첫 소설 <령로>를 발표했다. 1947년 소설 <새로운 맥박>이 『한남일보』에 3등으로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대표작품으로는 단편소설 <싸우는 사람들>, <호랑령감>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 <석개울의 새봄>(1-3부), 혁명적 대작 <고난의 력사> 1부와 <대하는 흐른다> 항일혁명 소설 <안개 흐르는 새언덕>, “불멸의 력사” 중 해방 전편 <혁명의 려명>과 <은하수>, 해방 후편인 <조선의 봄>을 창작하였으며, 김정숙을 형상화한 다부작 소설 “충성의 한길에서” 중 <유격구의 기수>, <사령부를 찾아서>와 장편소설 <축원>을 창작하였다.
천세봉은 1985년 김일성훈장과 김일성상을 수여받았으며, 1986년 10월 26일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에서 로터스(LOTUS)상을 받았다.
천세봉은 북한 수령형상문학과 가게형상문학에서 김일성 일가의 인물원형을 창조해낸 작가로 “불멸의 력사”와 “충성의 한길에서”의 김일성과 김정숙 등은 그가 창조해낸 원형에 기초해 창작되어지고 있다. 천세봉은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을 다양한 층위에서 자유롭게 묘사해내는 장점을 지닌 작가이지만 그는 전 작품을 통해 북한을 작동하는 원동력이 인민대중 그중에서도 농민이 체제 유지의 기반이며, 주력군이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관련어
항일혁명문학
,
수령형상문학
,
김일성상
,
4.15문학창작단
,
불멸의 력사
,
충성의 한길에서
동의어
千世鳳
참고자료
김은정, 『사적기록성과 미적 거리의 길항』, 서울: 소명, 2013.
이미지
천세봉
이미지명 : 천세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