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흐름식립체무대 [running three-dimensional stag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무대미술
9분류 개념
집필자 홍지석
시기1971년~현재
정의
‘흐름식립체무대’는 극 발전에 따라 장치와 배경을 끊임없이 변화시키는 무대를 지칭한다. 즉 흐름식 입체무대는 공연의 막이나 장을 연속적 선상으로 유도하며 이야기 전개의 흐름을 연결해나가는 무대를 가리킨다.
기원
흐름식 입체무대는 1971년 혁명가극 <피바다>의 무대미술에 처음 적용되었다.
변천
1971년 혁명가극 <피바다>에 처음 등장한 흐름식 입체무대는 5대 혁명가극으로 거론되는 <피바다>(1971), <당의 참된 딸>(1971), <꽃파는 처녀>(1972), <밀림아 이야기하라>(1972), <금강산의 노래>(1973) <한 자위단원의 운명>(1974) 무대미술에 적용되었고, 1978년 혁명연극 <성황당>의 무대미술에 적용된 이후 가극뿐만 아니라 연극에도 확대 적용되었다. ‘흐름식립체무대’는 현재 북한 무대미술을 대표하는 용어로 통용된다.
내용

흐름식 입체무대는 극 발전에 따라 장치와 배경을 끊임없이 변화시키는 무대를 지칭한다. 즉 흐름식 입체무대는 공연의 막이나 장을 연속선 상으로 유도하며 이야기 전개의 흐름을 연결해나가는 무대이다. 그 과정에서 암전은 없으며 배우들은 퇴장하지 않고 무대에서 다음 장면을 전개한다. 흐름식 입체무대에서 전개되는 가극, 연극에서는 “암전하거나 막을 닫는 일이 없이 매 장면을 흐름식으로 전환시켜 이야기를 련이어 펼쳐”(김정일) 나간다. 예컨대 연극 <성황당>에서 무대미술은 검은 구름에서 해가 솟아오르는 서장으로부터 시작해 선돌마을의 전경과 강냉이밭이 있는 마을어귀, 복순의 집과 지주집 뜨락, 마을길과 구장집 마당, 물레방아간과 성황당에서 이르기까지의 매 장면을 끊임없는 흐름 속에서 보여준다. 이러한 흐름식 입체무대는 “연극의 감정선을 끊임없이 일관시키면서 관중을 극세계에로 깊이 끌어 들이고 그들의 정서적 감흥을 높일수 있게”(김정일)한다.
북한에서 흐름식 입체무대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북한 무대미술을 현대화하는 데 기여한 장치로 평가된다.흐름식 입체무대의 가장 큰 특성은 “극 흐름을 중단함이 없이 지속시킬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많은 내용을 보여 줄 수 있다”(김정일)는 것이다. 또한 북한 비평가 방금철에 따르면 흐름식 입체무대미술은 “현실세계로부터 환상세계를 끊임없이 이어 주면서 인물의 심리정서세계를 다면적으로 드러내” 보이는 데 유효하다. 예컨대, 가극 <피바다>에서 “어머니가 감옥에서 나와 소발구를 타고 가는 장면”에서 흐름식 입체무대미술 형상은 “<일편단심 붉은 마음 간직합니다>의 노래선률속에 붉은 노을이 펼쳐지도록 하고 산등성이와 갈대숲 설레이는 강가로 화폭들을 련이어 전환시킴으로써” 혁명을 끝까지 하려는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뚜렷이 보여 주는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한편 흐름식 입체무대가 관객의 극 몰입을 극대화하여 관객들로 하여금 현실 감각을 잃고 극에 빠져들게 하는 장치라는 주장도 있다. 예컨대 천현식에 따르면 이것은 관객의 몰입과 경계상실, 공감을 유지하기 위한 사실주의 장치다.

관련어 피바다식 가극무대 미술, 성황당식 연극무대미술, 다장면구성
동의어 흐름식입체무대
관련연구(남) 박영정, 「북한연극의 공연방식과 미학」, 『한국극예술연구』, 제13집, 2001.
천현식, 「피바다식 혁명가극과 감정훈련」, 『현대북한연구』, 13권 3호, 2010 .
관련자료(북) 김정일, 「연극예술에 대하여」, 『김정일 선집 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방금철, 「인물의 성격발전에 따르는 흐름식립체무대미술형상」, 『조선예술』, 제5호, 2002.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