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흐름식립체무대미술 [flow-style 3D stage art]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연극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정의
다양한 생활 전경을 담은 입체적인 화폭이 무대 위에서 극의 흐름을 따라 끊임없이 흘러가게 하는 무대미술이다.
내용
흐름식 입체무대미술은 인민예술가이자 로력영웅인 무대미술가 서옥린에 의해 5대 혁명가극 중 하나인 <밀림아 이야기하라>(1972)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흐름식 입체무대미술이란 무대배경을 입체적으로 구성하고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꾸미는 것을 말하는데, 이의 도입을 계기로 무대배경이 단순히 배경이 아닌 주인공의 행동과 성장과정을 입체적으로 생생하게 보여주는 역할과 극을 끌고 나가는 역할까지도 하게 됐다는 것이 북한의 주장이다.

북한은 ‘흐름식 립체무대미술’이 도입되기 전의 연극에 대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제한점이 있었다면서, ‘흐름식 립체무대미술’이 등장하여 고착되고 평면적이던 종래 연극 무대미술의 제한성을 극복하고 인물의 모습도, 생활환경도 현실에서 보는 것처럼 그대로 재현할 수 있게 하였다고 주장한다.

첫째, 종래의 연극에서는 인물이 기뻐하건 슬퍼하건 관계없이 장치와 배경은 고착되고 정지된 상태에 있었다.
둘째, 극 흐름을 전개함에 있어서도 장면이 바뀔 때마다 일정한 동안 막을 닫거나 암전을 하고 다음 장면의 장치를 하였기 때문에 극적 감정선을 자주 토막내었다.
셋째, 무대적 생활환경을 조성하는데서도 모든 조형장치물들이 현실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넷째, 무대공간도 원근감이 보장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폭넓게 조성하지 못하였다.

『광명백과사전 6』(2008)은 ‘흐름식 립체무대미술’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흐름식 립체무대미술은 종래의 연극 무대미술의 제한성을 극복하고 극 발전에 따라 장치와 배경을 끊임없이 변화시켜 생활을 진실하고 생동하게 폭넓고 깊이 있게 보여줄 수 있게 한다. 또한 인물이 살고 있는 사회력사적 환경과 자연지리적 조건, 시대의 분위기와 민족 생활풍습을 보여주고 인물의 내면세계를 드러내며 인물이 성장 발전하는 과정을 조형적으로 안받침하여 준다. 흐름식 립체무대미술은 연극의 감정선을 끊임없이 일관시키면서 관중을 극세계에로 깊이 끌어 들이고 그들의 정서적 감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북한은 주체문예이론에 따른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특징으로, 종래 가극의 대화창(recitativo, 敍唱)을 없애고 절가화된 노래로 대체, 가극 형식에는 없는 방창의 도입, 무용의 도입, 절가를 음악의 기본형식으로 책정한 것과 함께 흐름식 입체무대미술을 도입한 것 등을 거론하며, 큰 자부심을 보이고 있다.
동의어 흐름식 입체무대미술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북한용어 400선집』, 연합뉴스,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