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혁명가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 무대미술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무대미술
9분류
작품
집필자
홍지석
시기
1974년
제작자
함경남도예술단, 강진, 김상옥 등
정의
혁명가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1974)의 무대미술을 지칭한다. 다장면 구성, 흐름식 입체무대로 대표되는 <피바다>식 가극무대미술의 사례 가운데 하나다.
내용
혁명가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은 항일혁명기에 처음 창작되었다고 알려진 항일혁명연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을 1970년대 초에 함경남도예술단이 가극의 형태로 옮긴 것이다. <한 자위단원의 운명>은 1970년에 조선예술영화촬영소의 영화작품으로 제작되었다가 혁명가극의 형태로는 1974년에 각색되었다. 조선연극인동맹 서기장으로 있던 무대미술가 강진이 함경남도예술단 무대미술가로 좌천 내지는 하방된 직후 무대 제작에 참여한 것이 눈길을 끈다.
혁명가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은 1장~7장, 종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간적으로 ‘겨울부터 이듬해 여름’, 공간적으로 허 구장의 집 앞에서 벌목장, 갑룡의 집, 자위단 병영, 사형장, 포대 공사장, 백두산 기슭으로 전개되는 여러 공간에서 전개된다. 김성진의 연구에 따르면 <한 자위단원의 운명>은 각 장마다 다른 무대 공간을 구축하고 있다. 2장~4장은 다시 몇 개의 경(景)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경 속에서도 무대가 전환되는데 무대가 전환되는 횟수는 통틀어 18회다.
이른바<피바다>식 가극무대미술이 확립된 1974년 제작된 작품이기 때문에 무대미술에는 ‘다장면 구성’, ‘흐름식 립체무대’라는 피바다식 가극무대미술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김정일은 “1960년대말과 1970년대초에 불후의 고전적명작 <피바다>와 <한 자위단원의 운명>, <꽃 파는 처녀>를 영화와 가극으로 옮기는 과정을 통하여 영화혁명, 가극혁명을 빛나게 수행하였습니다”라고 하여 가극<한 자위단원의 운명>을 이른바 가극혁명의 대표적 성과로 평가하기도 했다. 북한평론가 리재현은 가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의 무대미술을 “무대미술가들이 집체적 지혜를 모아 우리 식의 새로운 흐름식무대미술로 형상하였다”고 평하고 있다.
관련어
혁명가극 <피바다>
,
피바다식 가극무대미술
,
다장면 구성
,
흐름식집체무대
,
함경남도예술단
,
강진
,
김상옥
관련연구(남)
김성진, 「혁명가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제31집, 2007.
관련자료(북)
김정일, 「연극예술에 대하여」, 『김정일 선집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증보판)』,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이미지
혁명가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 무대미술
이미지명 : 혁명가극 <한 자위단원의 운명> 무대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