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공동식당 [Communal Dining Roo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 서정시
9분류 작품
집필자 신지연
시기1959년 6월
제작자백석
정의
이 시는 식민지 시대의 대표시인으로 평가받는 백석이 해방 후 북한에서 발표한 작품 중 하나로, 하루 일을 마치고 돌아온 사람들이 공동식탁에 둘러 앉아 함께 저녁을 먹는 풍경을 묘사한 시이다.
내용
『조선문학』 1959년 6호에 발표된 작품으로 총 6연 23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동식당>은 하루 일과를 마치고 돌아온 아이들과 어른들이 공동식탁에 둘러앉아 저녁을 먹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시로, 백석 특유의 호흡과 묘사와 리듬감이 느껴진다. 명절의 흥성스러움과 음식 냄새로 가득했던 <여우난곬족>의 풍경을 연상케 하기도 한다. 그러나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 쓴 이 시에는 일가붙이의 정겨움이 “새로운 동지의 사랑”으로, 산골의 옛 이야기는 “성실한 근로의 자랑”으로 대체되며, 이러한 이념적 지향은 마지막 행 “한없이 아름다운 공산주의 노을이 비낀다”에 집약적으로 명시되고 있다. 해방 전 백석 시의 특성과 연장선상에 있는 동시에, 체제에 의해 변화될 수 밖에 없었던 지점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백석 시의 총체적인 면을 살피려는 시도 속에서 최근 남한에서는 적지 않게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북한에서 백석의 이 작품은 거의 논의되지 않고 있다.

관련어 백석
관련연구(남) 김재용, 「근대인의 고향상실과 유토피아의 염원」, 김재용 엮, 『백석전집』개정판, 서울, 실천문학, 2011.
이상숙, 「북한문학 속의 백석 1」, 『근대문학연구』, 17호, 2008.
이영미, 「북한자료를 통해 재론하는 백석의 생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42권, 2009.
이상숙, 「분단 후 백석 시의 분석과 평가를 위한 제언」, 『어문논집』, 66호, 2012.
현대시비평연구회 편, 『다시 읽는 백석 시』, 서울: 소명출판, 2014.
참고자료 이상숙, 「분단 후 백석 시의 분석과 평가를 위한 제언」, 『어문논집』, 66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