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아동소설 [juvenile novels]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아동문학
9분류 개념
집필자 장정희
정의
아동을 위하여 창작하는 소설문학의 한 형태이다.
용례/관용구
아동소설은 아동문학의 주되는 형태의 하나로서 어린이들의 나이와 심리적특성에 맞게 생활을 예술적으로 재현한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기원
아동소설의 명칭 유래는, 1923년 방정환이 처음 사용한 ‘소년소설’이라는 명칭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학생소설’, ‘소년소녀소설’ 등의 다양한 장르 명칭이 분화되었다.
변천
북한 아동문학 장르에서 아동소설은 구성 형식에 따라 단편소설, 중편소설, 장편소설, 벽(壁)소설 등으로 구분되며, 내용에 따라 지능소설, 고전소설, 운문소설, 동물소설, 우화소설, 과학환상소설 등으로 구분된다.
벽소설의 경우, 해방 전 『별나라』 잡지에서 출발하여 북한 아동문학 장르로 계승되었지만 남한 아동문학에서는 장르로 발전하지 않았다.
내용
아동소설이 성인소설과 다른 특성은 아동문학 일반이 그러하듯이 어린이의 시점에서 그의 동심에 맞게 씌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동소설은 강한 현실성을 띠며, 소설적 구성을 통하여 아동에게 살아 있는 인생의 간접 체험을 제공한다.
다만 대상이 아동을 주로 하는 까닭으로 형상 구성에서 복잡성을 가지지 않는데, 『아동문학』(1981)에서는 다음과 같이 아동소설의 특징을 설명한다.
첫째, 아동소설에서 묘사되는 생활은 아동들의 생활이거나 그와 직접 연계된 생활 현실이다.
둘째, 아동 주인공이 등장하며 그의 전형적인 성격을 창조한다.
셋째, 주제의 명백성과 함께 아동들의 지적 수준과 인식 능력에 맞는 형상 구성을 가진다.
북한에서 아동소설은 환상성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와 장르 구분이 선명하다. 남한에서는 동화와 아동소설의 장르 구분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점과는 다른 아동문학 양상이다.
대응어 동화
관련연구(남) 이재철, 『아동문학개론』, 서울: 서문당, 1983.
신현득, 「한국 근대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국문학논집』, 17호, 2000.
김종회 편, 『북한문학의 이해』, 서울: 청동거울, 1999.
서동수, 「북한 아동문학의 장르인식과 형상화 원리」, 『동화와 번역』, 9집, 2005.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1 .
『문예소사전』, 평양: 조쏘출판사, 1958 .
장영, 리연호, 『동심과 아동문학 창작』,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1995 .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