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아동영화 [film for children]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시기1960년
정의
어린이들의 생활을 반영하여 그들의 교양을 목적으로 만든 영화이다.
기원
1960년에 셀(cell, 2D) 방식의 첫 만화영화〈금도끼 쇠도끼〉,〈신기한 복숭아〉를 제작한 후 꾸준히 아동영화를 제작해 오고 있다.
변천
1970년대 중반에 인형영화 <소동은 왜 일어났을까요>(1975), <두 장수>(1976), <누가 섬유의 왕인가>(1976) 등의 제작 기록이 있고, 지형영화로는 <호랑이를 이긴 고슴도치>(1984), <도토리형제들>, <깜장병아리> 등이 있다. 다부작(연작)으로는 만화영화<소년장수(1~50부)>(1982~1997), <령리한 너구리(1~62부)>(1987~2009, 계속), 인형영화 <빨간 별(1부~7부)>(2008~2010, 계속)가 유명하며, 1990년에는 첫 장편만화영화 <호동왕자와 락랑공주>를 제작했다. 특히 만화영화<날개 달린 룡마>(1983)와 <참외를 굴린 개미>(1983), 그리고 <도적을 쳐부신 소년>(1985)은 국제영화축전들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북한의 아동영화 전담 제작사인 조선4.26아동영화촬영소(현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 영문명 SEK studio)는 2D 애니메이션인 셀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낮은 인건비와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아, 1985년 이후 서구로부터 <라이언 킹>, <레 미제라블>, <헤라클레스>, <포카혼타스>등 수많은 애니메이션을 수주, OEM(주문자상표부착) 방식으로 수출하였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제작 추세가 컴퓨터 그래픽에 기반을 둔 3D 애니메이션으로 바뀌면서 고성능 컴퓨터 기자재와 제작 기술이 없는 북한은 한 동안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 그러다가 북한의 삼천리총회사 주도로 남한의 하나로통신과 3D 애니메이션 <게으른 고양이 딩가>(2001), <뽀롱 뽀롱 뽀로로>(2002)를 잇달아 공동 제작하면서 3D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2년 6월 북한 최초의 3D 애니메이션인 <환상 속의 세 동무>를 제작하였고, 이후 중국,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등에서 수주한 많은 수의 극장용 만화영화를 제작 생산해 내고 있다.
내용
아동영화는 취급하는 내용을 어린이들이 알기 쉽고 재미나게, 간결하고 명백하게 엮어놓는다. 이야기 줄거리는 흥미진진하면서도 명백하고 구성은 기발하면서도 단순하다. 주로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의 생활과 환상 속에서 펼쳐지는 생활을 의인화된 형상으로 보여주는 동화나 우화를 취급한다. 동화적인 것, 환상적인 것들을 무리 없이 보여주기 위하여 그림(만화)이나 인형, 지형(紙型) 같은 특수한 형상수단들을 이용하게 된다. 특히 의인화 수법을 많이 활용하여 동식물, 자연현상, 물건들을 산 인물로 등장시키는 인물 조형을 많이 쓴다. 의인화 수법은 동식물과 사물현상 등의 속성에 맞으면서도 어린이들의 심리적 특성에 맞게 사용된다. 아동영화에서는 의인화의 수법과 함께 환상적인 수법, 과장의 수법, 생략과 함축, 축소와 확대, 대조와 비유의 수법도 필수적인 수법으로 활용된다.
아동영화는 미술가들이 창조한 의인화된 대상들과 이를 뒷받침하는 배경들로 화폭을 창조한다. 그러나 그 화폭은 어디까지나 인간생활의 세계이다.
아동영화의 종류로는 그림영화, 인형영화, 지형영화가 있다. 그림영화(만화영화)는 회화적 수법이나 컴퓨터 화상처리로 그린 그림을 찍어 만든 영화이다. 오늘날 북한에서 그림영화와 만화영화는 동의어로 쓰이고 있으나, 1970년대에는 만화영화와는 별도로 움직임이 없는 그림이나 삽화를 연결해 이야기를 전달하는 구연동화 방식의 TV용 영상물만을 특정하여 ‘그림영화’로 분류하였다. 인형영화는 조형적으로 만든 인형을 통하여 내용을 보여주는 영화이다. 지형(紙型)영화란 종이에 그려 만든 인형을 통하여 내용을 보여주는 영화로 우리의 절지 애니메이션과 유사하다. 넓은 의미에서는 아동영화에 아동들을 위해 만든 예술영화(극영화), 기록영화들도 포함시킨다.
북한은 아동영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화영화에 대해, 만화로 혁명전통을 형상화할 경우 그 형상이 왜소화되고 진실성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이유로 혁명전통을 주제로 한 만화영화 제작을 가급적 지양하고 있다. 때문에 노골적으로 주제의식이 드러난 혁명전통 주제나 우상화 주제의 북한 만화영화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이러한 사실은 애니메이션 등 아동영화 분야의 남북 문화교류 전망을 밝게 해 주고 있다.
관련어 그림영화
관련연구(남) 전영선, 『북한 애니메이션(아동영화)의 특성과 작품정보』, 서울: 선인, 2014.
전영선·김영숙, 「북한 아동교육정책과 아동영화 창작원칙 연구」, 서울, 남북문화예술연구, 8집, 2011.
김영숙, 「북한 아동영화에 나타난 아동 교양사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7.
서정남, 「북한 아동영화에서 전래동화를 재현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32호, 2007.
서정남, 「애니메이션을 통해 본 북한 아동문화의 이해」, 『통일논총』, 18호, 2000.
장미진, 『북한의 아동영화 연구』,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관련자료(북) 「지적 교양주제의 아동영화문학 창작에서 종자탐구」, 『조선예술』, 8호, 1999.
「과학아동영화의 주체적 발전의 길에 새겨진 빛나는 업적」, 『조선영화』, 1호, 1995.
「주체적 과학아동영화의 발전에서 빛나게 향도한 불멸의 기치」, 『조선영화』, 11호, 1995.
「아동영화의 사상예술적 수준을 높여준 빛나는 향도」, 『조선영화』, 8호, 1994.
「과학아동영화 발전의 빛나는 년대기」, 『조선영화』, 7호, 1992.
「우리식 다부작 아동영화의 독특한 면모」, 『조선영화』, 6호, 1991.
「새 세대의 계급교양과 아동영화 창작」, 『조선예술』, 3호, 1970.
참고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편, 『북한 예술단체 총람』,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이미지

아동영화

이미지명 : 아동영화

아동영화2

이미지명 : 아동영화2

아동영화3

이미지명 : 아동영화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