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동화 [juvenile stor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아동문학
9분류 개념
집필자 장정희
정의
동화는 아동문학의 산문형식으로, 환상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아동문학의 독특한 형식이다.
용례/관용구
동화는 아이들의 감정 정서와 지향에 맞는 아동문학의 독특한 형식으로서 어린이들에게 옳은 혁명적 관점과 생활 태도를 가지도록 교양한다. 『아동문학』, 1981.
기원
동화라는 말 자체는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에서 출발한 것이다. 따라서 동화는 이야기형식이며, 보다 근원적으로는 원시시대의 설화문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옛이야기, 민담, 우화, 신화, 전설 등은 동화의 내질(內質)에 속한다.
변천
동화의 기원과 발전 과정에 비추어 볼 때, 북한의 동화는 전래 동화적 수법으로 설화적 소재와 주제를 많이 차용하고 있다.
내용
북한에서 동화는 아동소설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의 한 분야로 인정되고 있다. 『아동문학』에는 동화의 필수적 요소인 ‘환상’에 대해서 “동화적인 이야기를 끌고가는 기본 창조형식”, “동화의 존재방식”이라고 서술되고 있다.
북한의 동화는 계급교양과 공산주의 도덕 교양의 목적에 이바지할 목적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남한과 북한 아동문학이 ‘환상’을 동화의 생명이라고 보고 있는 데는 관점이 같다.
‘동화’ 장르는 앞으로 남북 아동문학의 동질성 회복에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대응어 아동소설
관련연구(남) 이재철, 『아동문학개론』, 서울: 서문당, 1983.
신현득, 「한국 근대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국문학논집』, 17호, 2000.
김종회 편, 『북한문학의 이해』, 파주: 청동거울, 1999.
서동수, 「북한 아동문학의 장르인식과 형상화 원리」, 『동화와 번역』, 9집, 2005.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1 .
엘 찌모페예브· 엔 웬그로브, 『문예소사전』, 평양: 조쏘출판사, 1958.
『아동문학』,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1.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2006.

이미지

동화

이미지명 : 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