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김상오 [Kim Sango]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문학 > 시인
9분류 인물
집필자 김성수
출생일1917년 7월 5일
사망일1992년 9월 4일
출생지황해남도 해주
정의
김상오는 <나의 조국>(1979)으로 유명한 북한의 대표 시인이다.
용례/관용구
다양한 주제에 걸쳐 다양한 양상적특성을 보여주면서도 생활적정서의 풍만성과 깊은 사색, 높은 지성도를 보여주는것이 특징이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해주 출신 시인으로 동경외국어학교를 다녔다. 귀국하여 해주에서 치과의사를 하면서 황해도당위원회 기관지 『자유황해』 주필, 행정부 기관지 『민주조선』 부주필 등을 지냈다. 1949년 등단하여 시 <압연공>, <그대들의 피자욱마다 아름다운 꽃이 피리라>(1950) 등 많은 시를 썼다. 전쟁기에는 <그때까지 우리는 우리의 총을 놓지 않을 것이다>, <증오의 불길로써>, <집>, <저기로!> 등의 종군시와 서사시 <조국의 깃발 아래>(1952)를 썼다. 전후에는 <당에 드리는 노래>, <탄생>, <평양시초>(1960), <심려>, <제가 노래할 수 있는 것은>, <우리 당>, <축하를 받으시라 최고 사령관 동지>(1991) 등과 시초 <고향시초>(1983), <손녀>(1985) 등을 썼다. 대표작 <나의 조국>(1979)에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출발한 서정적 주인공의 애정이 조국과 당, 수령으로 수렴됨을 보여준다. 시집으로 『우리의 날』(1950), 『증오의 불길』(1952), 『아름다운 기슭』(1959), 『나의 조국』(1988), 『우리 당』(1988) 등이 있다. 김일성상(1990)과 조국통일상(1995)을 받았다.
관련어 나의 조국, 김일성상
동의어 金尙午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인생길: 시인 김상오에 대한 이야기」, 『금수강산』, 10호, 2003.

이미지

김상오

이미지명 : 김상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