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연구(남) |
김재용·곽형덕 편, 『김사량, 작품과 연구 1~3』,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8~2013.. 추석민, 『김사량 문학의 연구』, 서울: 제이앤씨, 2001. 정백수, 『식민지 체험과 이중언어 문학』, 서울: 아세아문화사, 2000. 김윤식, 『일제 말기 한국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서울: 서울대출판부, 2003. 김윤식, 『해방공간 한국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 서울: 서울대출판부, 2006. 김재용, 『협력과 저항』, 서울: 소명출판, 2004. 김철, 「‘두 개의 거울’: 민족 담론의 자화상 그리기」, 『상허학보』, 17집, 2006 . 유임하, 「사회주의적 근대기획과 조국해방의 담론-해방 전후 김사량의 문학적 도정」, 『근대문학연구』, 2호, 2001. 안우식·심원섭 역, 『김사량평전』,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0. 호테이 토시히로(布袋敏博), 「解放後の金史良覺書」, 韓國文化硏究振興財團, 『靑丘學術論集』, 19集, 2001. |
관련자료(북) |
김선려·리근실, 『조선문학사 11』 , 평양: 과학백과종합출판사, 1994. 장형준, 리명호 편, 「작가 김사량과 그의 문학」,『김사량작품집』, 평양: 문예출판사, 1987. 사회과학원, 『문학대사전 1』, 평양: 사회과학원출판사, 1999. 안함광, 『민족과 문학』, 서울: 박이정, 1998. 한효, 「보다 높은 성과를 향하여」, 『문학예술』, 1호, 1950. 이선영 외 공편, 『현대문학비평자료집(이북편) 1』 , 서울: 태학사, 1993. 방철림, 「작가 김사량과 그의 창작」, 『천리마』, 1호, 19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