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열정의 노래 [Song of Fervor]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 > 장편소설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은정
시기
1987년
제작자
김홍무
정의
2차 7개년 계획 시대를 배경으로 트랙터 생산노동자들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내용
제2차 7개년 계획이 시작되던 시기, 트랙터 공장 기사장인 이진오는 트랙터 2,000대를 더 생산해야 한다는 방대한 과제를 떠안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제를 수행하자면 매달 300대의 트랙터를 생산해야 하는데 공장의 현 실태로서는 거의 불가능하기에 힘겨워한다.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하며 공장은 첫 월간생산계획에 미달한다. 이진오는 과거 이 공장의 기사장이었으며 지금은 금속기계 공업부문의 국장인 한정빈과 부기사장 주태섭, 주강직장장 강봉학 등을 정신적 지주로 여기고 있었다. 한정빈은 생산 계획의 미달이 자기의 우유부단함 때문임을 인정하고 기술자들을 독려하는 한편 다른 공장 기업소들에서 지원노력까지 끌어온다. 그러나 이진오는 한정빈의 이러한 조치를 완강하게 거절하며 생산체계를 바로잡고 주문품 생산을 위한 새로운 기술혁신안을 완성시켜 생산에 도입함으로써 생산정상화를 실현하여 2,000대 트랙터 증산과제를 수행한다.
이 소설에 대해 북한은 “발전하는 현실을 민감하게 반영하여 의의 있는 문제성을 탐구하고 그에 맞게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전개해나간 형상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형상을 통하여 과학과 기술의 시대에 생산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생산자들이 뜨거운 열정을 가지고 생산체계를 바로 세우며 기술혁신을 위한 투쟁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한다.
이 작품에 대해 북한은 발전하는 현실을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문제성을 탐구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지만 이 소설은 ‘대안의 사업체계’ 이후에도 체계가 잡히지 않은 노동현장의 고질적인 문제를 비판하고 있다. 주인공의 배경을 통해 사람들을 응집시킴으로서 사건을 해결하고 있어 다른 소설과 크게 차별성이 보이지 않는다.
관련어
김홍무
참고자료
김홍무, 『열정의 노래』, 평양: 문예출판사, 1987.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열정의 노래
이미지명 : 열정의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