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식 [mod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공통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권오성
정의
하나의 주음에 기초하여 안정음과 불안정음의 인성(끌림성)관계로 결합된 음들의 조직체계이다.
내용
조식을 이루는 매개 음들을 계단이라고 한다. 조식의 매개, 계단은 차례에 따라 로마숫자로 표시하는 데 주음을 Ⅰ계단이라 하며 다음은 Ⅱ계단, Ⅲ계단, Ⅳ계단, Ⅴ계단, Ⅵ계단, Ⅶ계단이라 부른다.
조식은 안정성과 불안정성의 상호관계와 음들의 인성에 의한 연결 관계를 집약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조식음들은 절대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조성에 따라 가변성을 띤다. 그것은 한 조식에서 가장 안전한 음으로 되던 것이 다른 조식에서는 불안정음으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식의 매개 계단은 성음진행(소리가기)의 성질에 따라 일정한 이름을 가진다. 즉 조식의 제Ⅰ계단은 주음, Ⅱ계단 하행도음(아래기울소리), Ⅲ계단은 하중음(어간소리), Ⅳ계단은 하속음(아래이끌소리), Ⅴ계단은 속음(이끌소리), Ⅵ계단은 하중음(아래어간소리), Ⅶ계단은 도음(올림 끌림소리 또는 기울소리)으로 불린다.
조식은 그를 구성하는 음들의 수와 음정관계에 따라 대조, 소조, 5음조식(그의 변형으로서 6음조식, 7음조식) 등으로 나누어진다. 대조란 주음 위에 구성되는 화음이 대3화음으로 되는 조식을 말하며 거기에는 자연대조, 화성대조, 선율대조가 있다. 소조란 주음 위에 구성되는 화음이 소3화음으로 되는 조식을 말하며 거기에는 자연소조, 화성소조, 선율소조가 있다. 5음조식이란 5개의 음으로 구성되는 조식을 말하는데 거기에는 여러 가지 형태들이 있다.
동의어
선법
관련자료(북)
리창구, 『조선민요조식체계』,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1990.
참고자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전통음악의 음조직』,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