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로동가요 [work s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공통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권오성
정의
민요의 한 형태로서 노동과정에서 피로를 덜고 일을 흥겹게 하려는 목적으로 창작되어 불려온 노래이다.
내용
노동가요는 노동과정에서 체험하는 사상, 감정, 지향점이 묻어나는 음악으로, 사람들의 생산 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민요는 원래 노동가요로부터 시작되었고 따라서 노동가요는 일반민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하였다.
농업노동과 관련된 노동가요로는 <모내기노래>, <풀베기노래>, <쇠스랑노래> 등이 있으며, 부녀자들의 노동과 관련된 것으로는 <방아타령>, <베틀노래>, <삼삼이노래>, <물레노래> 등이 있다. 북한자료들은 과거의 사회에서 불린 노동가요에는 당시 사람들의 일솜씨와 낙천적인 성격적 특성들, 봉건관료들의 착취행위에 대한 비판, 착취와 억압 밑에 신음한 그들의 비참한 생활처지 등이 반영되어있다고 적고 있다. 또한 노동가요들 가운데는 노동도구의 구조와 기타 자연현상을 노래한 것 등도 있다.
노동가요는 지방에 따라서 운율조직상 일련의 특색을 가지나 일반적으로 적지 않은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영남지방의 모내기노래는 흔히 8개의 구로 이루어져있는데 보통 앞의 4구로 먹이고, 뒤 4구는 받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지방의 모내기노래는 합창구로서 후렴 또는 반복구를 갖고 있다. 여기서 가장 일반적인 반복구는 ‘에헤 에헤요’ 또는 ‘얼널널 상사뒤여’이다. 지방에 따라 ‘하나하나 둘이로다’와 같은 감탄사가 붙기도 한다. 노동가요의 운율은 노동의 종류에 따르는 동작과 불가분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노동가요들 가운데서 높은 노동 강도를 요구하는 작업과정에 불리어진 보리타작노래, 풍구노래 등의 작품들에서는 그 음조가 대개 2·3조 3·3조와 같이 짧거나 혹은 파격적인 것이 특징이며 베틀노래, 바느질노래와 같이 동작이 비교적 느린 작업과정에 불리어진 민요들에서는 그 음조가 대개 4·4조로서 느린 율조를 보이고 있다.
동의어
노동가요
,
노동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