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저대 [fif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공통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권오성
정의
민족 관악기의 하나로 옆으로 부는 악기이다. 보통 참대나무로 만드는데 간혹 옥으로도 만들며 이것을 옥저라고 한다.
변천
현재 북한의 저대는 민족악기들을 현대음악의 요구에 맞게 개량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음량, 음역이 확대되고 반음 이행도 자유로이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청구멍을 제거하여 맑고 부드러우며 은은한 음색을 가진 현대적인 악기로 개량되었다. 이 저대는 김구멍이 있는 머리 부분과 누르개가 있는 아래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누르개장치가 된 14개의 소리 구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새로 고음저대가 창안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고음저대의 음색은 맑고 명료하며 음량은 단소보다 크나 형태는 저대와 비슷하다.
개량된 저대는 기본재료를 참대대신 박달나무, 자단과 같은 나무로 하여 제작에서 과학성과 통일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2반음체계에 맞게 음공을 과학적으로 설정하고 건장치를 도입하여 운지법을 해결함으로써 전조(轉調, 조바꿈)와 이조(移調, 조옮김)도 쉽게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연결관을 설정하여 악기의 절대 고도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음량과 음역도 확대되었다.
내용
저대는 대중악기로서 독주, 중주, 합주, 노래반주 등에 광범히 이용될 뿐만 아니라 군중 속에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옆으로 부는 악기이며 보통 참대나무로 만드는데 간혹 옥으로도 만들며 이것을 옥저라고 한다. 문헌자료에 의하면 저대가 광범위하게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7세기경부터이며, ‘삼죽’이라 하여 대함, 중함, 소함의 세 종류가 있었다고 한다. 그 중 현재까지 전하는 것은 대함인데 이것이 곧 저대이다. 저대는 보통 2.5~3센티미터의 직경과 70~73센티미터 정도의 길이를 가진 참대나무로 만드는 데 내경의 굵기에 따라 길이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저대는 ‘씨♭’악기이며 음역은 기보음(記譜音, written pitch)으로 제1옥타브(한 점 옥타브) ‘레¹’부터 제3옥타브(세 점 옥타브) ‘라³’(d¹-a³, D4-A6)까지이다. 저대는 독주와 중주에서 많이 쓰이며 민족적 음색을 나타내는 중요한 악기로 쓰이고 있다.
연주할 때에는 저대의 머리켠을 왼쪽 어깨에 수평으로 대고 왼손 둘째 손가락으로 여섯째 소리구멍을 막으며 넷째 손가락으로 넷째 소리구멍을 막는데 이때 엄지 손가락은 여섯 번째 구멍 아래 부분에서 저대를 받쳐준다. 그리고 타원형으로 된 김구멍에다 입김을 불어넣으면서 누르개를 조절하여 소리를 낸다. 저대의 음색은 우아하고 부드러우면서도 처량하고 구성진 것이 특징이다.
저대의 농음은 어깨와 머리와의 상호 반작용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때 진폭이 크면 농음이 느리고 진폭이 작으면 농음이 빨라진다. 농음은 보통 진 농음, 빠르고 잔 농음, 느린 것으로부터 점차 빨라지는 농음, 굴곡이 심하고 강한 농음 등 4가지로 나눈다.
관련어
민족악기
,
민족관악기
,
민족음악
동의어
대금
,
대함
,
젓대
이미지
저대
북한의 민족악기 저대 양금
이미지명 : 저대
이미지명 : 북한의 민족악기 저대 양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