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적기가 [Red Fla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공통 > 성악
9분류 작품
집필자 노동은
시기1931년 여름
제작자항일혁명투사들
정의
1930년대 항일무장 투쟁시기에 보급된 ‘혁명가요’이다.
내용
<적기가>는 3절의 가사와 16마디 두도막형식 및 사장조(G Major, 솔 대조), 4분의 4박자의 행진조로 힘차게 부르는 ‘혁명가요’이다. 16마디 두도막형식(2부분형식, a+a+b+a)의 골격음 흐름은 원곡과 같지만, 원곡 중 3-4마디, 7-8마디, 9-12마디, 15-16마디가 뚜렷히 다르게 개작되었다. 5절의 가사도 3절로 줄였고, 2절 첫 구절 “원쑤와의 혈전에서~누구냐”는 번역본에도 없는 부분이다.
<적기가>의 원 작품은 아일랜드인 짐 코넬(Jim Connell)이 1889년 런던 항만파업 때 작사한 작품이다. 처음과 달리 이후 이 노래는 독일민요 <전나무>(O Tannenbaum)에 얹혀 노래한다. 이 노래가 국제적으로 알려진 것은 미국에서 이 노래가 노동자운동에서 유행하게 되고 각종 노동가집에 실려 각국으로 번역되면서부터이다. 영국 노동당은 창설 시부터 이 노래를 불렀다. 일본에서는 1920년대 여러 사람에 의하여 번역되었지만 아카마츠 카츠마로(赤松克麿)의 번역가사가 널리 알려졌다.
이후 한반도에 전해졌고, 특히 1931년 여름 연변 안도현 흥륭촌 일대에서 전개한 공연에서 혁명투사들이 개작 및 보급하였다고 한다. 이 시기에 혁명가요 <적기가>외에 <결사전가>와 <단결하라 무산대중> 들이 함께 보급되었다.
항일무장 투쟁시기에 불렀다는 <적기가>는 어떠한 역경과 시련 속에서도 혁명의 한길로 붉은 기를 높이 들고 나아갈 투철한 혁명정신을 담아내고 있다고 평가된다. 선율이 계속 도약하며 강한 항일전투의 기상을 행진곡풍으로 힘있게 부른다.
관련어 혁명가요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16권』,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0.
참고자료 西尾 治郞平·矢澤 保, 『日本の革命歌』, 東京: 株式會社 一聲社, 1974.

이미지

적기가

이미지명 : 적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