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단소 [tanso, Korean short bamboo flut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공통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권오성
정의
참대나무를 잘라서 뒤에 한 개, 앞에 4개의 소리구멍(음공)을 내어 5음계로 조정하여 만든 죽관악기이다.
변천
단소는 원래 참대나무를 잘라서 뒤에 한 개, 앞에 4개의 소리구멍(음공)을 내어 5음계로 조정하여 만든 죽관악기였다. 이 단소는 음량이 작고 소리가 약할 뿐 아니라 12개 반음을 자유로이 낼 수 없으며 전조(조바꿈)도 원만히 할 수 없는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북한에서 개량된 단소는 그 소리가 더욱 우아하고 처량하며 음량과 음색이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12반음 체계로 조정되어 전조를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내용
기본 재료는 참대나무이며 내려 부는 악기로 간혹 개량되어 합성수지로 만든 것도 있다. 음색은 맑고 아름다우며, 정서적이면서도 예리하다. 저음은 폭이 넓으며 중음은 밝고 아름다우며 고음은 밝고 예리하다. 음역은 기보음(記譜音, written pitch)으로 ‘씨♭₁-솔³(b♭-g³, B♭3-G6)’까지이며 실음(실제 연주되는 음)은 그보다 소7(단7)도 높다.
단소는 표현력이 풍부하고 날쌔며 활발한 악기이다. 그러므로 느리고 서정적인 선율과 함께 빠르고 경쾌한 선율 또는 반주도 훌륭히 연주할 수 있다. 단소는 떠는음과 지속음을 비롯한 굴림소리와 장식음을 자유로이 연주할 수 있으며 특히 농음과 여러 가지 텅깅(tonguing, 혀운동으로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관악기 연주 기술)의 효과들은 관악기 중 가장 높다. 또한 여러 가지 새소리를 비롯한 자연의 음향 현상을 흉내 내는 의음효과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단소는 독주, 중주, 합주에 많이 이용된다. 특히 양악기와 민족악기(국악기)가 혼합되어 있는 북한의 배합관현악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며 민족적 특성을 높이는 데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단소를 개량하는 과정에 고음단소(단소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역을 가지고 있음)가 창안 제작되어 관현악의 제일 높은 음구(音區, 북한 음악용어인 음구는 악기나 목소리 또는 관현악의 전체 음역에서 높이와 음색에 따라 구별되는 구간을 말하며, 고음구, 중음구, 저음구와 특수 음구인 최고 음구와 최저 음구가 있다.)를 담당하고 있다. 단소는 전문 예술단체에서뿐 아니라 광범위하게 대중에게 널리 이용되며 사랑받는 악기이다.

이미지

단소

이미지명 : 단소

단소

이미지명 : 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