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단심줄 [ Unity Pole; a Tansimjul dancing; single heart pole; singing and dancing with the Tansimjul which symbolizes unit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채원
시기
일제시대
제작자
김일성
정의
노래와 춤으로 이루어진 북한의 유희극이다.
내용
당의 방침에 따라 인민대중이 굳게 단결하여 투쟁해야 나라의 독립을 이룰 수 있다는 사상을 노래와 춤이 배합된 가무 형식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노동자, 농민, 병사, 학생, 지식인 등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사람들이 당을 상징하는 붉은 기둥을 무대 가운데 세워놓고 그 기둥에 매달린 끈을 잡고 서로 엮어가면서 춤을 춘다.
가무는 붉은 기둥을 든 12명의 출연자들이 먼저 노래에 맞추어 무대 가운데로 나오면서 시작되지만, 장소에 따라서는 무대 가운데에 붉은 기둥을 미리 장치해 두었다가 음악이 시작되면 막을 열기도 한다. 붉은 기둥 꼭대기로부터 드리워진 여러 가지 색깔의 끈들을 각계각층으로 분장한 출연자들이 쥐고 기둥 주위를 서로 엇갈리면서 빙빙 돌아간다. 그러면 어느덧 여러 가닥의 끈들은 머리채 모양으로 기둥에 감기게 되며 끈이 거의 다 감길 무렵이면 춤과 노래는 더욱 고조된다. 이때 출연자들은 민족 전체가 굳게 뭉쳐 힘차게 싸우자고 호소하는 노래를 소리높이 부르며 기둥의 주위를 더욱 힘차게 돌면서 단심줄을 완전히 엮는다.
작품에서 기본은 단 심줄을 꼬아가는 부분이다. 가무에서는 주로 2/4박자로 된 <통일전선가>나 <민족해방가>와 <총동원가>와 같은 6/8박자로 된 <유희곡>을 출연자들이 직접 불렀으며, 하모니카 반주를 쓸 때는 방창과 손뼉 장단에 맞춰 춤췄다. 주로 쓰이는 동작으로는 곱디디어 걷기, 모아 걷기, 메고 감기, 메고 뿌리치기, 거듭 달리기, 점찍어 돌기, 손뼉 치기, 발 구르기 등 씩씩하고 발랄한 것들로 구성된다.
또한 <조선의 노래>나 <13도 자랑>과 같은 명곡을 동반할 때는 큰 규모의 종합적인 예술형식이 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출연자들이 각도의 지도를 한 장씩 들고 나와 자기도의 자랑을 노래하면서 하나의 큰 조선 지도를 만들어놓고 새 조선을 건설하겠다는 결의를 담아 <조선의 노래>를 부른 후에 <단심줄>을 진행하고, 그런 후에 <어린동무 노래 부르자>의 합창으로 끝내곤 하였다.
<단심줄>은 아동단유희대의 주요 공연작품의 하나로, 유격대원들의 전투 승리를 축하하는 모임이나 아동 단원들의 입단을 축하하는 모임, 5.1절과 6.1절, 10월 혁명 기념행사 때에 공연되었다. 출연 인원수는 때와 장소, 대상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행해졌다. 이 작품은 그 내용이 말해주듯이 단결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아동단의 조직생활과 활동에서 특히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춤이 되고 있으며, 현재 북한에서 무대무용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집단체조의 하나로서 혁명무용으로 평가받고 있다.
관련어
김일성
관련자료(북)
유영근, 『조선무용사 1』, 평양: 문화예술부교재출판사, 1976.
참고자료
『문학예술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문학예술사전(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광명백과사전 6』,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유영근, 『조선무용사 1』, 평양: 문화예술부교재출판사,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