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쐑소리 [hoarse voic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권오성
정의
판소리에서 창자들이 목이 쉰 듯한 소리로 질러대는 탁성, 즉 수리성(천구성)을 말한다.
내용
판소리에서 창자들이 목이 쉰 듯한 소리로 질러대는 것을 맑고 고운 서도민요에 익숙한 김일성이 듣기 싫다고 하면서 판소리에서 그러한 ‘쐑소리’의 발성법을 좀 더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을 연구하라고 한 것에서부터 ‘쐑소리’라는 말이 비롯되었다. 그러나 남한에서 판소리 창자들은 모든 음을 다 거칠게 목 쉰 소리같이 하는 것은 아니고, 극적인 표현을 하기 위해서 흉성발성으로 강조를 하게 되면 자연히 목소리가 쉰 듯한 소리로 부르기 때문에 부자연스럽게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발성은 서양 성악의 벨칸토 발성법이나 기타 아름다운 소리를 지향하는 성악에서는 기피하는 소리라고 할 수 있다.
관련어
남도창
대응어
서도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