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주성음악 [homophon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양악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수현
정의
주성체 서술에 기초하여 창작된 다성음악이다.
내용
주성음악(主聲音樂, Homophony)은 한 성부가 주요한 형상적 의의를 가지고 나머지 성부는 반주하는 다성 음악을 일컫는다.
음악적 서술이 주로 하나의 선율을 중심으로 하고 거기에 반주성부들을 뒷받침한 주성적 짜임새로 되어 있다. 여기에 두 개 이상의 자립적인 선율이 동시에 울리는 복성음악과의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주성음악을 특징짓는 징표는 음악 양식상, 종류상, 형식상에서도 나타난다. 종류와 형식면에서 볼 때 복성음악에 전주곡과 후가, 기악인벤션과 같은 종류와 따름곡(카논)과 같은 형식이 있는 것처럼 주성음악에도 가요와 일련의 민족적 무곡들, 론도, 소나타, 교향곡 등의 종류들과 가요적인 2부분형식, 3부분형식, 복합3부분형식 등이 속할 수 있다.
관련어 복성음악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1-29』,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색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4.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간략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4.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