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기록영화 [documentary movi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시기1947년
정의
자연과 사회에서 벌어지는 사건과 사실, 현상들을 실재한 모습 그대로 찍어 보여주는 영화이다.
기원
첫 기록영화인 무성영화〈우리의 건설〉, 〈민주선거〉에 이어, 1947년 첫 발성영화인 기록영화〈인민위원회〉를 제작했다.
변천
북한의 기록영화는 1950년부터 국제무대에 진출, ‘제5차 국제영화축전’에서 기록영화 <친선의 노래>(1949)가 기록영화상을 수상하였다.
1960년대에는 인민상 계관작품인 기록영화<공화국기치 만세(1, 2부)>(1962)가 당 역사 수록의 기념비적 작품이 되었고, 천연색기록영화 <봄의 명절>(1959)과 광폭기록영화 <천리마>(1963) 등은 영화예술 기술발전의 수준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한 작품이다.
1970년대 김일성 유일사상체계 확립과 김정일에 의한 김일성 우상화작업이 본격화되면서 기록영화의 한 유형인 영화문헌이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 이후 기록영화에서 영화문헌이 차지하는 비중은 급격히 증가했다.
내용
기록영화는 크게 영화문헌과 기록영화(좁은 의미)로 나뉘는데, 영화문헌이란 김일성과 김정일의 혁명 활동을 수록한 영화를 의미하며 현지지도영화문헌, 대외활동영화문헌, 행사영화문헌, 주제영화문헌으로 나누어진다. 현실에 있었거나, 있는 대상만을 그대로 보여주는 실재성은 기록영화의 본질적 특징으로서, 이를 통해 기록영화의 진실성이 보장된다. 실재성은 전형성과도 밀착되어 있는데, 현실에 있는 자료들 가운데서 본질적, 기본적, 필연적인 것만 체현하여 뚜렷하고 선명하게 돋군다. 기록영화는 또한 강한 정론적 호소성과 시사성, 역사문헌적 성격을 중요한 특성으로 한다. 기록영화는 화면과 해설, 음악으로 구성된다. 해설은 화면내용을 설명해 주거나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수단일 뿐 아니라 화면에서 볼 수 없는 뒤 생활까지도 밝혀 주며 창작가의 심정을 표현한다.
기록영화의 종류에는 네 가지가 있다. 행사기록영화란 당 및 국가의 정치행사나 국제 및 국내생활에서 큰 의의를 지니는 행사 내용을 수록 편집한 영화이다. 주제기록영화란 사회정치적으로 의의 있는 일정한 주제를 설정하고 그것을 보여주기 위한 현실생활 자료와 사실들을 수록 편집한 영화이다. 시보영화란 현실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건과 사실을 그때그때 보여주는 영화로, 단순시보영화, 종합시보영화, 사회주의시보영화로 구분된다. 자료영화란 실태보고 자료영화, 역사보존 자료영화, 통보 자료영화, 대내교양 자료영화 등이 있다.
관련어 다큐멘터리
대응어 예술영화
관련자료(북) 배희철 외, 『주체의 기록영화』,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위대한 수령님께서 꽃펴주신 주체기록영화의 대화원」, 『조선영화』, 12호, 1995.
「기록영화가 혁명전통교양에 적극 이바지하도록 이끌어주시여」, 『조선영화』, 8호, 1995.
「기록영화가 걸어온 영광의 40년」, 『조선영화』, 8호, 1986.
김일성, 「기록영화를 잘 만들데 대하여 : 영화부문 일군들과의 담화(1965.12.1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7.
참고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편, 『북한 예술단체 총람』,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민병욱, 『북한영화의 역사적 이해』, 서울: 역락, 2005.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