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지형영화 [scissored-paper fil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시기1960년대로 추정
정의
종이로 만든 인형을 촬영하여 제작한 아동영화이다.
기원
북한 지형영화의 기원과 변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1960년대에 최초의 지형영화가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에서 제작한 지형영화로는〈호랑이를 이긴 고슴도치〉(1984),〈도토리형제들〉,〈오누이〉,〈깜장병아리〉,〈아금랑〉,〈이상한 불빛〉,〈물오리 심판원〉등이 있다.
내용
지형영화에서 등장인물(캐릭터)들은 미술가가 그린 그림을 갖가지 형태로 본을 따서 그것들을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정장치를 단 종이인형들로서, 등장인물들과 그들의 행동은 미술작업과 종이인형 조정기법의 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지형영화의 제한점은 등장인물인 종이인형들의 움직임이 직선 위에서 벗어날 수 없고 앞뒤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어 동작과 율동이 입체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점이다. 또한 등장인물들의 표정을 다양하게 보여줄 수 없다. 즉 상대적으로 고정된 표정과 평면적인 형식은 지형영화의 제약성이자 그 특성이기도 하다.
반면에, 지형영화의 장점을 보면, 지형의 조각적인 미감과 장식적인 미감을 통하여 심리를 미묘하게 전달할 수 있고, 다양한 육체행동으로 고정된 표정에 다양한 심리적 색채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이 꼽히고 있다. 즉 정지된 상태에서 인물들의 심리상태를 함축성 있고 생동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과 각각의 동작을 따로따로 그리지 않고서도 기본 틀을 가지고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지형영화가 갖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은 적은 인원과 자금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손쉽게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종이인형을 만들 때는 등장인물의 성격에 맞게 인체의 골격과 굴절 위치에 따르는 의상 형태를 잘 처리하여 측면운동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북한의 지형영화(紙型映畵)는 절지(折紙)애니메이션을 말하는 것으로, 적은 인원과 자금을 가지고 비교적 손쉽게 어린이용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관련어 그림영화
동의어 절지애니메이션
관련연구(남) 전영선·김영숙, 『북한 아동교육정책과 아동영화 창작원칙 연구』, 『남북문화예술연구』, 8집, 2011.
김영숙, 『북한 아동영화에 나타난 아동 교양사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9.
서정남, 『북한 아동영화에서 전래동화를 재현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계명대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물, 2007.
장미진, 『북한의 아동영화 연구』,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관련자료(북) 「지적 교양주제의 아동영화문학 창작에서 종자탐구」, 『조선예술』, 8호, 1999.
「아동영화의 사상예술적 수준을 높여준 빛나는 향도」, 『조선영화』, 8호, 1994.
「우리식 다부작 아동영화의 독특한 면모」, 『조선영화』, 6호, 1991.
「새 세대의 계급교양과 아동영화 창작」, 『조선예술』, 3호, 1970.
참고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편, 『북한 예술단체 총람』,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