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춤동작 [dancer's movement]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채원
정의
음악의 선율과 장단을 타고 움직이면서 일정한 사상 정서적 내용을 표현하는 조형적이며 율동화된 동작으로, 일상적인 동작과 구별되는 예술적으로 형상화 된 동작을 말한다. 즉, 춤의 기본 구성요소가 되는 낱낱의 일정한 동작을 말한다.

내용

춤동작은 일정한 체계 속에서 움직이며 엮어지는 동작으로 무용 형상 창조에서 기본이 된다. 춤 동작의 모든 동작, 즉 팔과 다리 놀림 등은 반드시 음악의 선율이나 장단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악과 밀접히 결합되어 있다.
춤동작의 특징은 사람들의 기쁨과 행복 같은 정서적 표현성을 지닌다는 점, 놀림의 높고 낮음과 길고 짧음이 조화롭고 다양한 율동성으로 구현된다는 점, 몸과 팔, 다리 놀림은 민족의 감정과 정서에 맞게 다져진 것으로 오랜 기간을 거쳐 아름답게 체계화된 조형적 형태미를 지닌다는 점, 그리고 고유한 기법 체득을 통한 높은 기교성을 지닌다는 점에 있다. 때문에 춤동작은 무용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형상 수단이 된다.

춤 동작의 구성요소는 놀림과 방향 및 리듬, 그리고 기타 요소로서 속도와 동작 진행의 여러 가지 추기 표어들이 속한다. 춤 동작을 세부적으로 보면, 우선 신체 부위별로는 팔 동작, 손동작과 어깨 동작, 다리 동작과 발 동작, 온몸동작이 있으며, 형상적 기능별로는 주동작, 변화 동작, 연결 동작, 장식적인 치레 동작, 그리고 연풍대나 뛰기, 돌기와 같은 기교 동작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역사와 시대에 맞춰 발전한 춤 동작은 현대춤 동작, 민속춤 동작, 그리고 이 두 가지가 결합된 결합춤 동작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인간의 사상감정을 신체의 시공간적 형상체으로 표현해내는 가장 중요한 기본 수단인 춤 동작은 춤의 성격을 규정하는 결정적 역할을 수행한다. 춤이란 춤 동작의 연속적인 진행과정이며 다양한 춤 동작들을 엮어냄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단 하나의 춤동작 형태와 수뱅 방법을 통해 작품의 사상과 민족적 특징은 물론, 어떤 종류의 춤인가를 파악할 수 있다.

관련어 춤사위
동의어 춤움직임, 무용동작
관련자료(북) 리만순·리상린, 『무용기초리론』,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1982.
우창섭, 『무용표기기초』,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1987.
참고자료 리만순·리상린, 『무용기초리론』,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