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평양음악무용대학 [Pyongyang university of music and danc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9분류 조직
집필자 김채원
시기1949년 3월 1일~현재
정의
무용 전문가를 양성하는 북한의 고등교육기관이다.
규모와 구성
1946년 설립된 평양음악전문학교를 전신으로 출발, 국립음악학교로 승격된 이후 평양 예술대 학과 통합하여 평양음악무용대학으로 발전했으나 2006년 이후 음악과 분리되어 평양무용대학으로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평양시 대동강 기슭에 위치하며, 2010년 10월 15일 기존의 평양음악무용대학 교사를 리모델링하여 정식 준공되었다.
총 부지면적 5만여㎡, 연건축면적 2만여㎡에 기존 건물 7개 동이 리모델링되고, 5개 동이 새로 건설되어, 운동장을 중심으로 무용극장과 4개의 교사, 기숙사, 체육실, 교직원 청사 등을 갖추었다.
이 중 기존의 음악당을 보수한 무용극장은 1층에 총 460여 석의 관람석을 갖춘 무대와 분장실, 2층에는 사무실, 3층에는 무용수들과 연주가들을 위한 탈의실, 연습실이 들어서 현대적인 전문 극장으로 탈바꿈했으며, 4개의 교사, 기숙사, 체육실, 2개 호동의 교직원 청사로 구성되었다..
교사와 청사들에는 강좌실, 학부실, 교실, 실기연습실, 전공실기훈련실, 남녀종합훈련실, 의상 제작실들과 함께 샤워실, 탈의실 같은 편의 봉사시설 등이 갖춰졌으며, 4층짜리 기숙사도 침실, 휴게실, 건조실, 주방칸, 식당 등 편의시설이 완비되었다.

내용
북한의 예술인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으로, 1949년 3월 1일 평양음악전문학교를 국립음악학교로 대학 규모를 갖추면서 창립, 1952년 11월 해주 예술전문학교와 통합되면서 평양음악대학으로 개칭되었다. 이때의 학제는 예과 2년, 학부 3년이었는데, 1953년 7월 11일 ‘인민학교 기술 전문학교 및 대학의 학제개편’에 관한 내각결정 제111호에 따라 학부과정은 4년으로 늘어났다.
한편, 전문 무용인 양성은 주로 국립 최승희무용연구소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나, 1955년 2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회의 기술인재양성사업 개편대책과 3월 최고인민회의 제9차 회의의 기술전문학교 강화 방안이 마련되면서 1955년 8월 무렵에는 1953년 설립된 평양종합예술학교가 국립예술극장과 국립극장의 부속예술학교를 통합하여 무용과 등 6개 학과를 설치했다. 이 개편으로 입학 대상자는 기존 초급중학교에서 고급중학교 졸업생으로 설정했다. 이후 1956년 8월 평양 종합예술 학교의 무용과와 국립 최승희무용연구소가 통합되어 평양무용학교로 개편되었다. 그러다가 1962년 평양예술대학을 창립했다. 평양대극장 내에 설치된 이 대학은 국립예술극장, 국립민족예술극장, 국립교향악단, 국립무용극장의 배우들 100여 명을 신입생으로 받아들였다. 이로써 4년제의 정규 대학과정의 전문 무용인 양성교육이 본격적으로 마련되었고, 또 2년제 양성반을 별도로 운영함과 동시에 기존 전문 인력들을 위한 재직반을 설치하여 무용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조처도 강구했다.
1969년 10월 22일 평양음악대학을 방문한 김일성의 지시로 평양예술대학의 무용과를 흡수하여 1972년 2월 4년제의 평양음악무용대학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학생 정원은 1,400여 명이고 교육기간은 무용의 경우 중학교 수준인 예과 3년, 전문부 3년, 대학부 2년 등 8년제로 11-12세의 아동을 입학시켜 교육하고 있었으며, 음악은 인민반(4년)·예과(3년)·전문부(3년)·대학(4년)의 14년제이다. 작곡학부·성악학부·기악학부·민족기악학부·무용학부·예비교육학부·특설학부·사회교육학부 등 8개 학부가 있었으며, 부속기관으로 민족음악연구실·음악교재연구실·악기공장 등이 있었다.
2004년 4월 평양음악대학과 2006년 6월 27일부터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으로 개명하여 평양음악무용학원으로 분리되었고, 2009년부터 평양무용대학으로 승격분리되고 기존의 평양음악무용학원은 평양음악학원으로 개칭되었다.
평양무용대학의 학제는 6년제의 중학반이 병설로 있으며, 조선무용 학부와 발레무용 학부가 2년제로서, 18세에 졸업하도록 되어 있다. 대학 내 무용 창안 무학과, 무용표기학과는 3년제, 무용이론 학과는 5년제를 별도로 두고 있다.
조선무용 학부, 발레무용학부, 무용창작학부, 사회과학학과, 조선무용연구소 등이 있으며, 대학 설립을 계기로 발레무용단과 관현악단, 박사원도 발족하였다.
무용대학의 학제는 인민반 4년, 예과 3년(중등과정), 전문부 3년(고등과정), 대학 4년으로 구분되어 있어, 어릴 적부터 소질이 뛰어난 학생들이 입학해 대학까지 계속 교육을 받게 되어 있다. 그러나 같은 과정이지만 무용 전공의 경우 예과 3년부터 시작하여 전문부 3년, 대학 2년으로 총 8년의 교육기간을 가지고 있다.
졸업생들은 만수대예술단·피바다가극단 등 북한의 대표적인 음악·무용 단체에 진출한다.
관련어 평양음악전문학교, 국립음악학교, 평양예술대학, 최승희무용연구소
대응어 한국예술종합학교
동의어 평양 무용대학
관련연구(남) 박영정·오양열·전영선, 『북한 문화예술 현황분석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사, 『조선대백과사전 23』,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
교육도서출판사 편집, 『해방후 10년간의 공화국인민교육의 발전』,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55.
참고자료 정갑영, 『북한문화동향』제1집,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브리태니커백과사전, http://preview.britannica.co.kr, 2015.5.28.
김철웅, 「알아봅시다:평양음악무용대학 」, 『음악저널 모아진』, 10호, 2010 .
전자잡지포탈 모아진, http://www.moazine.com/fviewer/index.asp, 검색일: 2015.05.28.

이미지

평양음악무용대학

이미지명 : 평양음악무용대학

평양음악무용대학2

이미지명 : 평양음악무용대학2

평양음악무용대학3

이미지명 : 평양음악무용대학3

평양음악무용대학4

이미지명 : 평양음악무용대학4

평양음악무용대학5

이미지명 : 평양음악무용대학5

평양음악무용대학6

이미지명 : 평양음악무용대학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