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북춤 [Drum Danc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민속무용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채원
시기삼국시기로 추정
정의
북을 치면서 추는 민속무용소품을 말한다.
내용
우리민족이 즐겨 향유한 북춤은 옛날부터 여러 지방에서 여러 형태로 추어졌다. 일상생활과 노동의 결실을 기뻐하며 흥겨운 북가락에 맞춰 춤을 추었기 때문에 지방적 특색과 노동생활이 반영되어 있는 춤이다.

해방이후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무고>와 <북춤>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발전시킨 <북춤>이 추어지고 있다. 유형은 북을 바닥에 엎어놓고 추는 <통북놀이>와 매달아 놓거나 작은 북을 메고 추는 <두레놀이 북춤> 등이 있다.

먼저 북을 메고 추는 춤의 구성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앞부분은 느린 춤부분이다. 북을 멘 무용수가 굿거리장단에 맞춰 아름다운 선율을 타며 조용히 걸어나오면서 시작한다. 우아하게 무대 중앙으로 나온 무용수는 북을 치면서 멋들어진 춤가락과 북가락을 보여주는데, 주로 팔메고 펴기, 돌려메기, 팔 얹은 가짐으로 끌어올리기 등의 춤가락이 고유하게 펼쳐지며, 북가락은 제자리에서 굿거리치기, 보통걸으며 굿거리치기, 두팔 휘돌려 굿거리치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뒷부분은 빠른 춤 부분이다. 한무릎대고 비껴앉은 가짐에서 휘모리장단을 북을 재치있게 추는 장면과 잦은발 걷기로 달리듯이 무대를 사전으로 횡단하며 북을 치는 장면, 그리고 타악장단에 맞춰 원으로 회전하며 북을 치는 북가락 장면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율동적이며 기술적인 기교가 결합된 춤가락을 통해 절정으로 몰아간다. 마지막 장면은 회전하던 무용수가 갑자기 앉은 자세를 했다가 일어서서 포즈를 하며 마무리짓는다.

다음으로 눕혀놓은 큰북을 치며 추는 북춤의 구성 역시 두 부분으로 나뉜다.
앞부분은 무대 가운데 큰 북이 있고 그 주위에 반원형으로 둘러 세워놓은 북이 있다. 양손에 북채를 든 여성무용수들이 나와 각기 자신의 북 앞에 서서 북을 치면서 추는 느린 춤장면이 전개된다. 이어 무대 가운데로 나와 굿거리에 맞춰 춤을 춘다. 뒷부분은 큰북과 세워져있는 북을 본격적으로 치면서 추는 빠른 춤장면으로, 북은 매우 빠르고 열정적이며 활달하게 치는 움직임으로 진행된다.
관련어 큰북춤, 손북춤, 쌍채북춤, 두레놀이 북춤
관련자료(북) 박종성, 『조선민속무용』, 평양: 문예출판사, 1991.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이미지

북춤

이미지명 : 북춤

북춤2

이미지명 : 북춤2

북춤3

이미지명 : 북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