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황철 [Hwang Chol]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공연 > 연극인
9분류 인물
집필자 김정수
출생일1912년 1월 11일
사망일1961년 6월 9일
출생지충청남도 청양군 비봉면 강정리
정의
1912년 충청남도 청양군 출신이다. 중학교를 중퇴하고 조선연극사(1931~1935), 동양극장(1935~1939), 아랑(1939~1945)에서 연극 활동을 한다. 대표작으로는 <개화전야>, <신라의 달>, <홍길동전>, <승방비록>, <단종애사>, <춘향전>,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뇌우> 등이 있으며, 1948년 8월 월북하여 국립연극극장에서 배우 생활을 지속한다. 북한에서 연기와 연출에서 거두로 자리 잡았으며, 1952년에 공훈배우, 1955년에 인민배우 칭호를 받는 등 연극계의 존경받는 대부가 되었으며 1961년 사망 이후 오늘날까지도 북한 연극계에는 황철의 영향력이 남아 있다.
내용
<연혁>
1912년 1월 11일 충청남도 청양군 비봉면 강정리 출생
<조선연극사>와 동양극장산하의 <청춘좌>에 들어가 배우로 활동
1939년 9월: <아랑극단>을 조직하고 단장이 됨
1945년 해방후 극단명칭을 <락랑극회>로 고치고 진보적인 연극활동.
1948년 4월: 월북 남한대표로서 남북조선 정당, 사회단체대표자연석회의에 참가한 후 국립극장 배우로 활동
1950년: 6.25 전쟁 시기 전선위문공작대에서 예술활동
1952년: 공훈배우
1955년: 첫 인민배우
1955년~1958년 국립극장(오늘의 국립연극단) 총장
1957년~1961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58년: 국제인형극연맹 위원으로 활동
1958년~1960년 교육문화성 부상
1960년~1961년 국립연극극장(오늘의 국립연극단) 총장
1961년 6월 09일 사망, 애국렬사릉에 안치
1996년 조국통일상 수여받음

<작품활동>
· 1935년~1947년: <물새>, <동학당>, <춘향전>, <홍길동전>, <셔먼호>, <김옥균전> 등의 작품에서 주역 담당
· 월북 후: <항쟁의 노래>, <백두산>, <리순신장군>을 비롯한 번역극<외과의 크레체뜨> 등에서 주역 맡음
· 예술영화: <춘향전>의 변학도역. <최학신일가>(1955), <우리 마을>(1956), <설봉산>(1958), <밀림>(1960), <우리는 행복해요>(1960) 등의 연극작품 연출.
· 인형극: <흥보와 놀보>(1957, 1965년 제3차 국제 인형극축전에서 시상), <혹 뗀 이야기>(1960) 등의 대본 창작
논문: 「무대화술」(1959), 「분장론」 등
평론: 「새로운 연기창조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1955), 「배우와 기본훈련」(1957), 「배우와 기교」(1960) 「내가 본 무대에서의 나운규」, 「우리 연극예술의 15년」등
수기 : 『나의 종군수기』 등

<생애>
연극배우·영화배우·연극연출가이다. 1912년 1월 11일 충청남도 청양군 비봉면 강정리에서 출생하였다. 부친은 청양 군수를 지닌 황우정이고 형제는 누나가 있다. 어렸을 때부터 글씨를 잘 쓰고, 손재주가 있어 그림을 잘 그렸다고 한다. 배재고보를 다니던 때부터 서울 생활을 하는데 이때부터 영화나 연극을 동경한다. 처음에는 유랑극단에서 황태철이라는 가명으로 무대장치를 거들면서 단역으로 출연했는데, 이것이 연극과의 첫 만남이었다. 1935년 11월 서대문구 충정로에 동양극장이 문을 열며 연구생을 모집하자, 황철은 입단한다. 이후 그는 임선규 작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의 철수 역을 맡으면서 자신의 명성을 전국적으로 알린다. 연기활동 중 호화선의 여배우 이정순과 결혼하는데, 황철은 아내 이정순의 친구이자 선배 양백명의 아내인 문정복과 사랑에 빠진다. 이후 정치상황의 급변에 따라 입지가 좁아지던 황철은 남측 대표로서 남북조선정당, 사회단체대표자 연석회의에 참가한 후 북한 국립극장 배우로, 6.25 전쟁시기에는 전선위문공작대에서 예술 활동을 벌이게 된다. 그 후 교육문화성 부상, 국립연극극장(오늘의 국립연극단) 총장을 역임했으며, 많은 연극작품들에서 연기와 연출을 담당했다. 월북 이전에는 <물새>, <동학당>, <춘향전>, <홍길동전>, <셔먼호>, <김옥균전> 등 수십 편의 작품들에서 주역들을 담당했으며, 월북 이후에는 <항쟁의 노래>, <백두산>, <리순신장군> 등의 작품에서 주역을 맡았다. 또한 <우리 마을>, <설봉산>, <밀림>, <우리는 행복해요> 등을 연출하였으며 소설 낭독에서도 독특한 기교를 보여주었다. 이외 인형극 <흥보와 놀보>(1965 제3차 국제인형극축전에서 시상), <혹뗀 이야기> 등의 대본도 창작하였으며 후배 연극인들을 지도했다. 황철은 풍부한 성량, 세련된 화술, 표현력 있는 연기로 유명하다. 저서활동도 활발하여 「무대화술」, 「분장론」 등의 논문과 「새로운 연기창조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배우와 기본 훈련」, 「배우와 기교」등의 평론, 『나의 종군수기』 등의 수기, 수필들도 집필했다. 북한에서 첫 공훈배우, 인민배우였고, ‘조국 통일상’을 수여 받았으며, 묘는 애국열사릉에 있다.
황철은 근대 우리 연극사 최고의 배우로 현재까지 남한에서도 인정받는다. 절제된 연기와 풍부한 성량 때문이다. 그에 대한 연구는 우리 연극사에서 남북한이 소통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지점이다.
관련어 무대화술, 공훈배우, 인민배우
관련연구(남) 김정수, 「인민배우 황철의 연기훈련법: 화술훈련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6집, 2012.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 편찬위원회, 『한국 근 현대 연극 100년사』, 서울: 집문당, 2009.
김성노, 「배우 황철의 무대화술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06.
김정수, 「한국연기 연기에 있어서 화술표현의 변천양태 연구: 190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07.
전영선, 『북한을 움직이는 문학예술인들』,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4.
엄국천, 「배우 황철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99.
관련자료(북) 소희조, 「태양의 품속에서 영생하는 명배우 황철」, 『조선예술』, 4호, 2012.
최창호, 『민족수난기의 연극 2』, 평양: 평양출판사, 2002 .
「(해빛과 영생) 연극배우 황철의 예술활동과 받아안은 크나큰 사랑 (3)」, 『조선예술』, 10호, 1996.
「(해빛과 영생) 연극배우 황철의 예술활동과 받아안은 크나큰 사랑 (2)」, 『조선예술』, 9호, 1996.
「(해빛과 영생) 연극배우 황철의 예술활동과 받아안은 크나큰 사랑 (1)」, 『조선예술』, 8호, 1996.
신창규, 「황철과 그의 예술 (2)」, 『조선예술』, 8호, 1965.
신창규, 「황철과 그의 예술 (1)」, 『조선예술』, 7호, 1965.
황 철, 『화술과 분장』, 평양: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3.
리 단, 「황철과 그의 화술」, 『조선예술』, 7호, 1963.
「인민배우 황철 동지 서거」, 『조선예술』, 7호, 1961.
신고송, 「다양한 재능과 정열적인 탐구의 예술가」, 『조선예술』, 7호, 1961.
황 철, 「기교 련마에서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자」, 『조선예술』, 11호, 1960.
황 철, 「우리 연극예술의 15년」, 『문학신문』, 1960년 9월 24일.
황 철, 「배우와 기교」, 『조선예술』, 7호, 1960.
황 철, 「새로운 터전을 가꾸기 위하여: 모든 불행의 화근을 뿌리채 뽑아 없애라」, 『문학신문』, 1960년 4월 29일.
황 철, 『무대화술』, 평양: 조선예술사, 1959.
황 철, 「연극의 질 제고와 진실성 문제」, 『조선예술』, 11호, 1959.
황 철, 「새 각광 속에 자란 연극」, 『문학신문』, 1958년 9월 4일.
황 철, 「새로운 연기 창조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 『조선예술』, 11호, 1957.
황 철, 「내가 본 무대에서의 라운규」, 『문학신문』, 1957년 8월 8일.
황 철, 「나의 종군기」, 『조선예술』, 6호, 1957.
연기 및 연출 연구회, 『생활과 무대』, 평양: 국립출판사, 1956.
국립출판사 편, 『문학예술과 계급성』, 평양: 국립출판사, 1955.
북조선총동맹군중문화부, 『군중문화총서 연극써-클의 수첩』, 평양: 북조선직업총동맹군중문화부, 1949.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8.

이미지

황철

이미지명 : 황철

황철

이미지명 : 황철

황철

이미지명 : 황철

황철

이미지명 : 황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