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황학근 [Hwang Hakkun]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음악 > 양악 > 작곡가
9분류
인물
집필자
민경찬
출생일
1925년 6월 19일
사망일
1951년 1월 14일
출생지
평양시
정의
국립가극극장 작곡가를 역임했으며, 북한 정권 초기의 대표적인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내용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으며, 해방 전 독학으로 가극 <락랑공주>를 작곡하였다. 1945년 9월부터 평양방송국 음악편성원으로, 1946년 9월부터 국립교향악단 팀파니 연주자로, 1947년부터는 조선인민군협주단의 전신인 보안간부훈련대대부 협주단의 지휘자로 활동을 하였고, 이후 국립가극극장 작곡가로 있으면서 창작 활동에 전념하였다.
6.25 전쟁 시절 <진군 또 진군>, <서울전차사단의 노래> 등 전시가요를 작곡하였으며, 대표작으로는 <력사의 성산>, <방아타령>, <벼가을하러 갈 때>, <평양구경>, <바다의 건설>, <봉화> 등이 있다.
김일성의 표창장을 받았으며, 민족음악의 고유한 특성을 작품창작에 적극 구현하여 민족색이 짙은 우수한 음악 작품들을 창작하였다는 평을 받고 있다. 북한 정권 초기의 대표적인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관련어
국립교향악단
,
국립가극극장
,
조선인민군협주단
동의어
黃學根
관련연구(남)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작곡가사전』, 서울: 시공사, 1999.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김덕균·김득청 외, 『조선민족음악가사전』, 연길: 연변대학출판사, 1998.
이미지
황학근
이미지명 : 황학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