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벽암 [Cho Pyokam]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문학 > 시인
9분류 인물
집필자 오태호
출생일1908년 10월 9일
사망일1985년 11월 24일
출생지충청북도 진천
정의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평론가로도 활동한 조벽암은 구인회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과 지식인의 윤리의식이 엿보이는 작품을 발표하였다.
용례/관용구
그의 시창작에서 특징적인 것은 감정의 섬세성과 함께 시형상의 간명성, 생동성이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시인이자 소설가 겸 평론가로서 본명은 중흡(重洽)이다. 소설가 조명희의 조카로 1908년 충북 진천에서 출생한 그는 학교는 경성 제2공립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대학 시절 『문학타임즈』를 간행하기도 하였다.
1931년 8월 소설 <건식의 길>과 10월에 시 <구고를 사르며> 등을 『조선일보』에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소설 <구인몽>(1932), <농군>(1933), <처녀촌>(1933), <파종>(1935), <취직과 양>(1937) 등을 통해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다양한 시각으로 서사화했다. 1938년 이문당에서 첫 시집 『향수』를 간행했고, 시집 『지열』(1948)은 미군정에 의해 발매금지를 당했다. 이 시들은 일제시대와 해방기의 황막한 현실을 관조적으로 응시하는 특질을 지니고 있다. 지식인의 비참한 현실과, 지식인이 현실에서 느끼는 우수와 권태와 비통함과 증오의 감정을 서사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946년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회 위원 겸 시부문 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1948년 월북하여 6.25 전쟁이 끝날 무렵 평양문학대학의 초대 부학장, 1956년에는 작가동맹 편집부장과 『조선문학』 주필도 역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1957년 초 이태준 계열의 숙청 때 과거 구인회 시절의 관계가 문제가 되어 집필 금지령을 받고 협동농장으로 추방됐다. 1959년 재기하여 이후 문학가동맹의 부위원장을 지냈고, 1961년에는 북한몽고친선협회 부위원장과 평양문학대학장 등으로 활약했다.
해방 전에는 주로 소설을 썼으며 이태준과 함께 구인회의 동인으로 활동했다. 당시의 소설에서는 일제하의 비참한 지식인의 현실을 그렸으며 대표작으로는 <농군>, <취직과 양>, <처녀촌>을 남겼다.
평론으로 <김안서씨의 정형시론에 대하여>(1933), <탄식하는 시신(詩神)>(1933), <대담한 나파륜의 길>, <창작방법 리알리즘 작가>(1935), <문단 부패성과 고독성>(1935) 등을 썼다. 1947년에는 막심 고리끼의 『문학론』(1947)을 번역 간행하기도 했다.
해방 직후 건설출판사를 설립하여 주보 『건설』을 발행하였고, 1945년 말엽부터 문학가동맹 기관지들에 <고토>(『건설』 창간호), <초석>(『예술운동』 창간호), <환희의 날>(『건설』 창간호), <해방의 정>(『시인춘추』 속간호) 등을 발표하며, 해방의 환희와 미래에 대한 각고의 삶을 영탄적 목소리로 노래하고 있다.
1948년 월북한 이후로는 6.25 전쟁이 끝날 때까지 <싸우는 제주도>, <떼비둘기 날을 때까지>, <동궁 앞에서>, <진격의 노래>, <영원한 형제> 등을 발표했다. 1957년에는 조선작가동맹출판사에서 『벽암시선』을 펴내기도 했다. 특히 대표작인 <눈자국>, <발자국 소리> 등은 김일성의 항일 빨치산 투쟁을 소재로 한 혁명전통 주제물이다.
전쟁 이후 승리를 경축하고 전후복구건설에 앞장선 김일성의 풍모를 노래한 <광장에서>(1953)를 비롯한 많은 서정시들과 시초 『삼각산이 보인다』(1956) 등을 창작발표하였으며 1957년에는 해방 전후를 통하여 창작한 시편들 가운데서 추려서 묶은 시집 『벽암시선』을 내놓았다. 시초 『삼각산이 보인다』는 민족분열의 고통과 통일지향을 절절한 감정으로 생동하게 노래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시문학의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북한에서는 감정의 섬세함과 시형상의 간명성, 생동성을 특징으로 파악하며, 대표적인 감성적 시인으로 평가한다.
관련어 조선문학
동의어 조중흡
관련연구(남) 이명재 편, 『북한문학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199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관련자료(북)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이미지

조벽암

이미지명 : 조벽암

조벽암2

이미지명 : 조벽암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