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삼각산이 보인다 [Samgak Mt. Is Seen]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 서정시
9분류 작품
집필자 오태호
시기1956년 12월
제작자조벽암
정의
<서운한 종점>, <삼각산이 보인다>, <가로 막힌 림진강> 등의 5편의 서정시로 이루어진 시초 중의 한 편이자 표제작이다.
용례/관용구
시초에 묶여진 작품들은 서정시로서의 짙은 서정성을 보장함에 있어서나 집약되고 정제된 시적구성조직에 있어서 체험세계를 진실하게 일반화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조선문학』 1956년 12월호에 실린 조벽암의 시초 <삼각산이 보인다>는 <서운한 종점>, <삼각산이 보인다>, <가록 막힌 림진강> 등 5편의 서정시로 이루어진 시초다. 하나의 지맥으로 잇닿아 있고 한 핏줄을 이어받은 나라와 민족이 분단된 것에 대한 심정을 토로하면서 남한에서 미국를 몰아내고 조국통일을 이룩하겠다는 지향을 노래한 작품이다.
<서운한 종점>은 고향을 남쪽에 둔 화자가 종점이 아닌 분계선에서 기차를 내리는 괴로운 심정을 토로하면서 통일에 대한 절절한 염원을 표현한 시인데 반해, <삼각산이 보인다>는 남쪽의 형제들이 겪는 불행과 고통을 생각하는 화자의 조국통일에 대한 열망을 노래한다. 창문을 열면 삼각산이 보이지만 남한에서는 미국과 이승만 정권에 의해 수많은 사람들이 불행과 고통 속에 신음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민족분열의 비극을 극복해야겠다는 의지를 강렬하게 표현한다.
시 말미에는 “눈물속에서도 분노의 번개는 쳐/ 어언중 삼각산도 산산이 부스러지누나// 나는 지긋이 입술을 깨물며/ 창문을 도로 닫고// 5개년 계획의 나의 설계도를 편다/ 그들에게 곧바로 뚫린 길을 찾아”라고 마무리되는 것에서도 드러나듯, 화자는 삼각산을 바라보며 가까운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갈 수 없는 분단된 조국에 가슴 아파하며 분단을 상상적으로 극복할 자신의 설계도를 펼치는 것으로 그려낸다. 화자는 김일성이 제시한 5개년 계획의 설계도를 실현함으로써 조국통일을 앞당기고 사회주의 건설을 힘차게 펼쳐갈 결의를 다지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시초에 묶인 작품들이 모두 민족의 원한과 고통이 서려 있는 남한 땅을 두고 북쪽의 인민이 느끼는 통절한 체험세계와 분노의 감정을 시적 형상으로 진실하게 반영하였다고 평가한다. 『벽암시선』(1957)에 실려 있다.
관련어 조벽암, 시초
관련연구(남)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관련자료(북)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