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어은금 [oungu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기악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수현
정의
북한이 기타와 만돌린의 장점만을 살려 개량한 민족악기이다.
기원
북한은 김정일이 김일성종합대학에 재학하면서 평양시 룡성구역 어은동에서 군사야영훈련을 하던 기간(1962년 8월 20일∼10월 4일)에 어은금을 직접 만들어 이용했다고 선전하고 있다.
내용
어은금은 크기와 음역 및 음량에 따라 소(小), 중(中), 대(大), 저(低)어은금으로 구분된다. 어은금으로 독주는 물론 중주, 합주, 병창이 가능할 뿐 아니라 선율과 화음연주를 쉽게 할 수 있다.
북한은 2001년 최고 예술교육기관인 평양음악무용대학(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민족기악학부와 각도 예술학원, 평양 금성제1중학교에 어은금학과를 각각 설치했다. 또 만경대학생소년궁전 및 평양학생소년궁전에는 어은금소조(동아리)가 각각 구성됐으며 각 지방의 학생소년궁전과 악기보급기관들에서도 이 악기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조치했다.
이후 북한에서 어은금이 대중악기화되었고, 어은금을 배우려는 희망자들이 급속히 늘어났다.
관련자료(북) 김주봉, 「어은금연주에서 잇기주법의 기술적요구」, 『조선예술』, 10호, 2005.
화보『조선』, 4호, 2001.
참고자료 「〈기악작품해설〉 어은금」, 『조선예술』, 3호, 2006.
『통일신보』, 2001년 9월 29일.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1-29』,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색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4.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간략본』,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4.

이미지

어은금

이미지명 : 어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