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숨은영웅형상화영화 [film for representation of the unassuming hero]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개념
집필자 전미영
정의
주체형 공산주의자의 전형으로 제시된 숨은 영웅을 주제로 한 영화를 총칭하여 이르는 용어이다.
기원
1980년 1월 개최된 조선작가동맹 제3차 대회에서 위원장이던 천세봉은 혁명적 문학작품에서 새로운 앙양을 일으키자고 주장하였고, 김정일은 이를 구체적으로 ‘숨은 영웅의 발견’이라고 하였다.
변천
1980년 6차 당대회에서 채택된 숨은 영웅 형상화는 평범한 사람들 속에서 영웅을 찾자는 운동이었다. 이에 따라 평범한 일상에서 자신의 일을 수행하는 ‘숨은 영웅 따라 배우기 운동’이 대중적으로 전개되었고, 1980년대 북한영화는 한편으로는 수령형상영화를, 다른 한편으로는 숨은 영웅들의 이야기를 엮어나갔다.
내용
북한에서 말하는 숨은 영웅의 성격적 조건으로는 먼저, 혁명적 의리와 양심을 지키는 것으로, 이는 무엇보다도 실천 활동을 통해 충성심을 증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숨은 영웅은 주체의 인생관을 가진 인물이라고 한다. 주체의 인생관은 영웅의 목표와 이상이 자기 자신에 의해 관리된다는 의미와 상통한다.
대표적인 숨은 영웅 형상화 영화로는 <열네번째의 겨울>(1980), <초행길>(1980), <평범한 사람>(1985), <설한령의 세 처녀>(1985), <기쁨과 슬픔을 넘어서>(1985), <산정의 처녀기사>(1986), <금강산으로 가자>(1986), <네거리 초병>(1986), <마음에 드는 청년>(1988), <생의 흔적>(1989), <아버지의 마음>(1989), <숲은 설렌다>(1984) 등이 있다.
북한영화사에서 숨은 영웅 형상화의 공헌은 보수주의, 소극성, 기술신비주의, 관료주의 등에 맞서는 북한의 숨은 영웅들을 통해 북한의 서민들의 시공간을 영화의 주요 무대로 등장시켰다는 사실이다.
관련어 숨은영웅, 주체형 인간, 주체사실주의
참고자료 이명자, 『북한영화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조선중앙통신』, 2005년 12월 22일.
전영선, 『북한의 문학예술 운영체계와 문예이론』, 서울: 역락, 2002.

이미지

숨은영웅형상화영화

이미지명 : 숨은영웅형상화영화

생의 흔적

이미지명 : 생의 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