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숨은영웅 [unassuming hero]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성호
시기1970년대 말~
정의
숨은 영웅은 1970년대 말 침체된 생산현장의 분위기를 쇄신하기 위해 제시된 주체형 공산주의자의 새로운 유형이다.
용례/관용구
숨은 영웅과 숨은 공로자들은 개인의 명예나 이익보다 당과 수령, 조국과 인민을 위하여 모든 것을 묵묵히 바쳐나가는 참다운 공산주의자의 전형이다. 김정일, 『주체문학론』. 1992.
기원
숨은 영웅은 “그 어떤 바람이 불어도 오직 한 마음 당과 수령을 위하여 조국과 인민을 위하여, 몸 바쳐 투쟁하여 소문 없이 큰일을 한 열렬한 애국자, 참다운 공산주의자” 혹은 평범한 일상에 파묻혀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어떤 평가나 보상에 대한 기대 없이 오직 혁명을 위하여 모든 것을 다 바쳐 묵묵히 일하는 존재를 가리킨다.
‘숨은 영웅’론은 1979년 과학원 식물학 연구소의 연구사인 백설희를 내세우면서 시작된 ‘숨은 영웅 따라 배우기 운동’을 문예에 적용한 것이다. ‘숨은 영웅’에 앞서 강조된 새로운 주체형 공산주의자의 전형은 ‘3대 혁명 소조원’이었다. 1970년대 중반 김정일이 ‘3대 혁명 붉은 기 쟁취운동’을 주도하면서 부각되기 시작한 ‘3대 혁명 소조원’은 주로 ‘수령의 품안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젊은 세대, 그리고 비교적 학력이 높은 엘리트들로 생산현장에서 사상, 기술, 문화의 3대 혁명을 선도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하지만 이들의 엘리트주의와 미숙성 때문에 실제로는 적지 않은 한계와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에 따라 새롭게 제시된 주체형 공산주의자의 전형이 ‘숨은 영웅’이다.
변천
‘숨은 영웅’이 강조되면서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그린 작품들이 산출되는 등 북한문학에도 미세한 변화와 균열의 조짐이 나타났다. 하지만 그것이 이념과 일상 사이의 균열을 본격적으로 그리는 데까지 나아간 것은 아니었다. 북한문학은 여전히 사상과 도덕의 힘에 의해 비루한 일상이 영웅적으로 고양되는 것을 그려야 했기 때문이다. ‘숨은 영웅’론은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면서 대중적 영웅주의로 이어졌다.
내용
‘숨은 영웅’은 3대 혁명 소조원들과는 달리 연령이나 학력 등과는 무관한 내면적 자질과 품성, 즉 ‘당과 혁명에 대한 높은 충실성’, 그리고 ‘조국과 인민에 대한 끝없는 헌신성’에 의해서 규정되었다. 끊임없이 수령이라는 초월적 주체에 스스로의 삶과 행위를 비추어보면서 조국과 혁명을 위해 좀 더 큰 희생과 헌신의 각오를 다지는 것, 즉 어떤 현실적, 물질적 보상도 바라지 않고 오로지 내면의 양심에 따라 묵묵히 실천하는 것이 곧 ‘숨은 영웅’이 될 수 있는 자질이었던 것이다. 북한은 이 ‘숨은 영웅’에게 당의 결사대, 근위대가 될 것을 주문함으로써 전 주민의 영웅화를 촉구했다.
‘숨은 영웅’의 개념은 모든 인민에게 영웅이 될 것을 요구하는 개념이다. ‘숨은 영웅’이 강조된 것은 해방 이후 계속 유지되었던 동원 체제가 가져온 전 사회적 피로감과 이로 인한 생산력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서였다. ‘숨은 영웅’이 될 수 있는 인민의 자질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혁명을 위해 한생을 바친 수령의 은덕에 자신을 비추어 보면서 스스로의 부족함을 깨우치고 혁명을 위해 묵묵히 희생하고 헌신하는 자세였다. 이는 북한이 인민의 내면과 양심까지도 동원의 대상으로 삼고 있음을 말해 준다.
관련어 대중적 영웅주의, 주체형 공산주의자, 전형
동의어 숨은 영웅
관련자료(북)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참고자료 렴희태, 「3대 혁명소조원:청년 인테리의 전형적 성격 창조를 위하여」, 『조선문학』, 7호, 1975.
류만, 「주체형의 당일군 형상을 훌륭히 창조하자」, 『조선문학』, 1호, 1980.
권형진·이종훈 엮음, 『대중독재의 영웅만들기』, 서울: 휴머니스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