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혁명가요 [revolutionary s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공통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배인교
시기일제시대 ~ 현재
정의
김일성을 위시한 빨치산들이 항일투쟁의 과정에서 불렀다는 가요이다.
기원
혁명가요는 김혁이 만들어 부른 <조선의 별>로부터 시작되었다.
변천
“혁명”이란 용어는 김일성이 항일무장투쟁을 했던 시기에 만들어진 가무에 붙어 혁명가극, 혁명송가, 혁명무용 등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김일성이 항일무장투쟁시기에 만들었다는 작품들에 대해서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그리고 2000년대에는 혁명군가라는 용어가 만들어지면서 확대 양상을 띤다.
내용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시기에 혁명가요가 만들어졌다고 하며, <조국광복회10대강령가>, <조선인민혁명군>, <반일전가> 등을 대표적인 혁명가요로 꼽는다. 특히 김일성이 만들었다는 8곡은 ‘불후의 고전적 명작’으로 불린다. 그리고 1950년대 초반 한시형을 중심으로 민요채록사업을 하던 중 일제시대에 만들어져 불렸던 혁명가요 발굴이 진행되었고, 1957년에 『혁명가요집』이 출판되었다.
혁명가요의 대부분은 행진곡적인 양상을 갖는다. 즉, 혁명가요는 행진곡 풍의 박자와 함께 전투적이며 낙관적인 음조와 리듬을 써서 힘과 용기를 안겨주는 노래가 되었다. 또한 혁명가요는 가사를 절가화하여 항일무장투쟁 현실을 여러 절에 담아 형상하였으며 많은 절이라 해도 하나의 간결한 음악구조에 담아 형상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부를 수 있는 통속적인 노래로 만들었다.
혁명가요에는 아이들을 위한 아동혁명가요도 만들어져 불렸다. 아동혁명가요는 항일무장투쟁 초기의 연예활동과정에서 많이 창작, 보급되었으며, 이 시기에 나온 작품으로서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 <조선의 노래>를 비롯하여 <어린 동무 노래부르자>, <소년애국가>, <유희곡>, <어데까지 왔니>, <혁명군놀이>, <혁명군은 왔고나> 등이 대표적이다. 항일아동혁명가요들은 행진곡 성격의 노래이거나 유희, 무곡 성격의 노래를 막론하고 어린이들의 정서와 심리에 맞게 경쾌하고 명료한 리듬과 단순한 음조로 밝고 명랑하며 율동성이 강한 선율을 가지며, 민족적 풍격이 뚜렷하고 통속성이 구현되어 있고 평가된다.
혁명가요의 혁명적이며 전투적이고 통속적인 선률들은 북한 음악예술의 기본이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북한식의 수많은 노래들이 만들어졌다.
관련어 항일혁명음악
동의어 항일혁명가요
관련자료(북) 한시형, 「(수기) 혁명가요를 들을 때마다」, 『조선예술』, 7호, 1991.
리문웅, 「아동혁명가요와 그 음악형상적특성」, 『조선예술』, 5호, 1992.
류형신, 「생활과 투쟁의 노래, 항일혁명가요」, 『조선예술』, 3호, 1993.
우연오, 「혁명적음악예술발전의 시원을 열어놓으신 위대한 업적 : 불요불굴의 반일혁명투사 김형직선생님께서 지으신 혁명가요예술에 대하여」, 『조선예술』, 7호, 1994.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3.

이미지

혁명가요

이미지명 : 혁명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