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영천아리랑 [Yongchon Ariran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성악
9분류 작품
집필자 배인교
시기일제시대 ~
제작자미상
정의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신민요이다.
용례/관용구
<영천아리랑>은 가사의 후렴에 반영된 경상도 영천의 지명을 따서 이름 붙인 것이다.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가사에 경상도 영천의 지명이 나오는 아리랑류의 노래이다. 가사에는 임에 대한 사랑과 행복에 대한 지향이 반영되어 있으며, 후렴을 먼저 부른 후 본 사설을 부르는 형태를 띤다. 북한의 <영천아리랑>은 전승과정에서 두 개의 각편이 존재한다. 하나는 엇모리장단, 즉 5/8박자의 <영천아리랑>과 세마치장단, 즉 9/8박자의 <영천아리랑>이 그것이다. 엇모리장단의 것은 박력있고 건드러지면서도 맑고 명랑한 정서를 가지며, 세마치장단의 것은 흥겨우면서도 서정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 노래는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사이에서 불렸던 노래 중의 하나이다. 고려인들의 노래는 “아라린가 지랄인가 용천인가”라는 가사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지랄용천”이 영천으로 변용된 것으로 파악되기도 한다.
관련어 경상도아리랑, 신민요
관련연구(남) 김영운, 「북한에 전승되는 민요 아리랑 연구: 음원·악보자료에 의한 악곡유형 분류」, 『한국민요학』, 제39집, 2013.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영천아리랑

이미지명 : 영천아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