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민성 [vocalization of folks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노동은
시기
1956년 이후
정의
서양음악의 양성(洋聲)에 대비되는 북한 민족음악의 발성법으로 그 표현방법인 창법을 민족성악인 민요의 가창, 특히 서도민요 창법에 둔다.
기원
북한이 1956년 4월 당 제3차대회 이후 민족악기 개량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면서 대두된 과제가 전통음악의 음색이었고, 민족음악의 창조적인 발전으로 ‘민성’이 부각되었다.
변천
1961년 4월 당이 판소리 창악인들과 벌어진 판소리논쟁에서 ‘쐑소리’ 비판으로 음색 비판이 정점을 치닫자 민성이 대두된다.
이후 ‘쐑소리(판소리의 소리성)’가 없어지면서 민족성악의 민성창법을 비롯 기악의 악기개량이 본격화된다. 1961년 9월 민족악기전람회에서 개량된 90점이 발표되고, 1963년에 150점이 발표된다. 이후 서양악기와 배합편성이 이루어져 주체적 관현악이 수립된다.
내용
북한의 민성(民聲)은 민족음악 발성법에 의해 내는 창법인 ‘서도민요창법’ 모두를 가리킨다. 서도민요창법은 서도민요를 기본으로 발전시킨 새로운 창법이다. 민성은 그 나라 민족구성원들의 민족적 감정과 정서에 따라 역사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민족적 특성과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기 떄문에 각 문화권의 나라마다 다르다. 창법의 민족적 특성은 그 나라의 민요 가창에서 나타나며, 북한의 창법은 전통적인 민요에서 나온다. 북한은 민요의 특성이 섬세하고 다채로우며, 그 소리 색깔과 여러 가지 고유한 굴림새와 롱성(弄聲) 등 기교적인 수법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나타난다고 밝히고 있다. 예컨대 서도와 남도, 경기와 강원 등 지역에 따라 민요창법이 서로 다르다. 북한은 해방 후 민족음악 건설방침을 구현하여 사상감정과 정서에 잘 맞는 서도민요를 기본으로 민요창법을 만들었다. 민족적인 발성법에 따라 노래를 표현하는 창법으로서 서도민요 창법은 시대적 요구의 결과로 나왔다. 북한은 김일성이 ‘쐑소리’로 표현한 판소리 창법이나 음풍영월식의 시조 창법이 민족적 선율과 현대의 사상감정에 맞는 창법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북한지역의 전통적 창법 또한 오늘의 정서와 현대적 미감에 맞지 않는 낡은 것이므로 비판한다. 오늘날 북한의 서도민요 창법은 전통적인 서도민요 창법을 시대의 요구에 맞게 발전시킨 창법으로, 민성은 민족적 발성법과 서도민요 창법을 포함한다. 가수가 아무리 발성을 훌륭하게 잘 하여도 노래 표현에서 서도민요 창법을 모르면 가수로서 평가하지 않는다. 동시에 북한의 서도민요 창법이 양악 성악과는 구별되나 양악 성악 또한 그 특성에 맞게 민성을 완성시키는데 ‘복무’해야한다고 그 상호관계를 밝힌다.
관련어
민족적 발성
,
서도민요창법
,
롱성
대응어
양성
동의어
민요발성
관련연구(남)
고상미, 「남과 북의 민요창법」, 『동양음악』, 30권, 2008.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20권』,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