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민족관현악 [national orchestra]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노동은
정의
민족관현악은 민족악기가 그룹별로 묶여진 많은 수의 기악연주자들의 집합체이다.
기원
삼국시대에 ‘하무덤’에 그려진 회랑 벽화의 대행렬도 <고취악>을 보면 악기수가 70여개에 이른다. 『삼국사기』에 신라의 김유신 장군 장례 당시 군악고취 1백 여 명을 파견한 것을 보면 악기별로 합주할 수 있는 민족관현악 편성이 풍부하게 발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민족관현악은 독주나 민족기악중주보다 규모와 울림이 크고 음색이 다양하므로 인간과 사회의 사상감정을 폭넓고 깊이 있게 표현할 수 있어 고대 이래로 선호한 연주형태이다. 각 연주자에게 그룹적 편성의 집단성과 현악기를 위 아래로 긋는 등 연주기법의 동일성으로 말미암아 집단정신이 크게 요청되었다. 민족관현악에서 이 집단정신의 요청을 북 또는 좌고, 그리고 집박이 지휘자 역할을 해왔다. 세계 여러 나라의 민족관현악은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 다채로운 여러 가지 악기들로 편성된다. 북한은 1952년부터 민족음악을 현대화하기 위해서 국가적으로 악기를 개량하여 1963년에는 150여 점이나 새롭게 창안·제작되었다. 그리고 1970년 이후 배합관현악 편성이 부각되어 민족악기가 중심인 ‘주체적 관현악 편성시대’를 열었다.
관련어 관현악
동의어 민족오케스트라

이미지

민족관현악

이미지명 : 민족관현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