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돈돌라리 [Tondollari]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민속무용
9분류 작품
집필자 한경자
정의
함경남도 동해안지방에서 민요 <돈돌라리>에 맞추어 추는 민속무용이다.
내용
<돈돌라리>는 춤가락이 고유하고 지방적 특색이 뚜렷한 함경도 지방의 대표적인 생활무용이다. 함경도 북청지방을 중심으로 그 일대에서 추던 춤으로 함경도 지방 사람들은 명절날이나 즐거운 일이 있을 때 민요 <돈돌라리>를 부르며 춤을 추었다.
북한에서는 <돈돌라리>를 동틀 날 즉 해방의 날이 다가 온다는 뜻으로 해석하면서, 거기에는 착취와 속박이 없는 자주적이고 새로운 생활을 바라는 염원이 반영되어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돈돌라리>는 처음에 여성들만 모여 손뼉장단, 바가지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었으나 점차 남성들도 참가하고 여러 가지 노래와 악기의 반주까지 동원되면서 대중적인 군무로 변화되었다. <돈돌라리>는 춤판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빙 둘러 앉으면 몇 사람이 안으로 뛰어들어 춤을 추기 시작한다. 사람들이 노래를 부르며 춤장단에 맞추어 손뼉을 치다가 춤판이 점차 고조되면 한 두 사람씩 춤판에 뛰어들면서 차츰 규모가 커진다. 처음에는 각자 춤을 추다가 자연스럽게 원을 이루며 대형을 짓게 되는데 이 대형은 몇 겹, 또는 여러 개의 원으로 나누어지기도 하며 춤이 절정에 이르면 무동을 쌓기도 한다.
<돈돌라리>는 특징적인 다양한 가락으로 추어졌는데 강약이 명확한 장단과 노래에 맞추어 첫발을 크게 내짚고 깊은 굴신을 하였다가 다음 발부터 얕은 굴신으로 가볍게 걸어 나가는 걷기동작은 독특한 율동감을 자아낸다. 또한 걷기 율동에 맞추어 머리와 함께 두 팔을 나란히 하여 좌우로 살래살래 흔들다가 두 손목을 강하게 펴며 매듭짓는 동작과 온몸을 좌우로 가볍게 흔들면서 손목을 돌려 얼굴을 살짝살짝 가리는 동작, 그와 대조되게 두팔을 앞뒤로 활달하게 흔들며 스쳐 달려가는 동작, 땅에 무릎을 대고 몸방향을 재빨리 바꾸어 돌거나 허리를 틀어 올리면서 바가지장단을 치는 동작 등은 이 춤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적인 동작들이다.
<돈돌라리>는 대중적 성격이 강한 민속무용의 하나로 북한에서 많은 무용작품에 이용되고 있다.
관련연구(남) 박경선, 「25현 가야금 3중주를 위한 <돈돌나리>분석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0.
관련자료(북) 리순정, 『우리 나라 민속무용』,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1991.
박종성, 『조선민속무용』, 평양: 문예출판사, 1991.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최영란, 「북한 가무놀이 『돈돌라리』의 특성과 남북 재현 비교」, 『한국체육사학회지』, 제9호, 2002.

이미지

돈돌라리

이미지명 : 돈돌라리

돈돌라리

이미지명 : 돈돌라리

돈돌라리

이미지명 : 돈돌라리

돈돌라리

이미지명 : 돈돌라리

동영상

동영상

동영상이름 : 돈돌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