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독백 [monologu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연극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정의
희곡의 기본 형상수단인 대사의 한 종류로, 등장인물 상대역이 없이 혼자서 하는 말이다.
내용
희곡의 표현형식에는 기본 형상수단으로서의 대사와 보조적 형상수단으로서 설화와 가사, 바탕글 등이 있다. 그리고 생활을 반영함에 있어서 막, 장, 장면을 구성단위로 하는 표현형식이 있다.

독백은 대화, 방백(傍白, 상대역이 아니라 관중에게 전달할 목적으로 하는 말)과 함께 희곡의 기본 형상수단인 대사(臺詞)의 한 종류이다. 독백 형식에는 등장인물의 복잡한 사상감정이나 지향을 표현하는 형식, 등장인물의 운명이나 사건 발전을 암시하는 형식, 상대역 인물과 교제하는 과정에 자기의 속마음을 혼자 소리로 표현하는 형식 등이 있다.
등장인물의 운명이나 사건 발전을 암시하는 형식의 예로는, 혁명연극〈성황당〉제3장 중간 장면에서 한 돌쇠의 독백 “흥, 우선 무당싸움부터 붙여놓고 보자”는, 무당을 가운데 놓고 황지주와 백구장 사이에 벌어질 싸움을 암시해 준다.
독백은 간단한 감탄사 같은 것으로부터 여러 개의 문장들로 이루어진 긴 것들도 있다. 독백에서 중요한 것은 독백이 주어질 수 있는 생활적인 계기와 극적 정황을 진실하게 조성하는 것이며, 독백을 할 수 있을 만큼 감정 축적을 충분히 이루어 놓는 것이다.
독백은 구체적인 정황에서 인물이 자기의 생각, 고민, 결심 등을 생생하게 전달하면서 사상정신세계를 직접 표현하게 한다. 독백은 연극 발생 초기부터 극작법과 역 창조의 중요한 형상수단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쓰이고 있으며, 등장인물의 성격을 깊이 있게 형상하며 극을 발전시키는데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련어 대사, 대화, 방백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조쏘출판사 편, 『문예소사전』, 평양: 조쏘출판사, 1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