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삼동동어깨춤 [Samdongdong Shoulder Dance ]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민속무용
9분류 작품
집필자 한경자
정의
가을걷이를 끝내고 풍년을 노래하는 놀이들에서 추었던 평안남도 성천지역의 민속무용이다.
내용
<삼동동어깨춤>은 평안남도 성천 지방에서 가을걷이를 끝내고 풍년을 노래하는 놀이들에서 많이 추었던 춤으로 청춘 남녀들의 낙천적이고 낭만적인 모습을 생동감있게 보여주는 군무이다.
<삼동동어깨춤>이라는 명칭은 세 번 움직이고 한 번 어깨춤을 춘다는 뜻에서 나왔다. 풍년놀이 <삼동동어깨춤>은 마을 사람들이 다 어울려 큰 춤판이 펼쳐지기 전까지 처녀총각들이 먼저 춤을 춘다. 처녀총각들의 춤은 재미있는 이야깃거리로 엮어지고, 그 이야깃거리가 있은 다음, 그들의 “좋다~!” 하는 소리와 함께 벌어지는 춤이 고조되면 장소에 모여든 모든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춤판은 커져간다.
이렇듯 <삼동동어깨춤>은 이 지방 처녀와 총각들, 마을 사람들의 마음과 마음들이 화합되는 춤이었으며 풍년을 노래하는 농민들의 춤놀이였다.
<삼동동어깨춤>의 고유한 춤동작은 처음에는 손목, 다음에는 팔굽을 굽히고 마지막 장단에 어깨춤을 추는 것이다. 걷기를 할 때에 발동작도 그렇게 수행한다. 춤 동작 수행에서 세 번 굴곡을 주고는 네 번만에 어깨를 추는 것이 이 춤의 특징이다.
<삼동동어깨춤>은 양푼이나 함지에 바가지를 엎어놓고 장단을 쳤다. 이야기거리는 많이 달라졌지만 그 독특한 춤가락은 현재까지도 원래의 모습대로 보존되고 있다. 역동적인 춤가락이라고도 할 수 있는 <삼동동어깨춤>의 춤가락은 이 지방 주변 일대의 여러 민속무용에 자주 나타나고 있다.
관련어 어깨춤, 은률어깨춤
관련자료(북) 박종성, 『조선민속무용』, 평양: 문예출판사, 1991.
리순정, 『우리 나라 민속무용』,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1991.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