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삼지연대기념비 [Samjiyon Grand Monument]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조소 > 조각
9분류
작품
집필자
박계리
시기
1979년
정의
<삼지연대기념비>는 무산지구전투승리 40주년을 맞아 세워진 기념비미술이다.
용례/관용구
삼지연대기념비는 실재한 사실자료와 구체적인 생활소재들을 원형으로 하여 주체형의 인간전형들을 진실하고 생동하면서도 깊이있게 형상하였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삼지연대기념비>는 1979년 5월 무산지구전투승리 40주년을 맞이하여 삼지연 못가에 세운 기념비미술이다. 무산지구전투는 1939년 5월 김일성이 조선인민군을 이끌어 일제와 싸웠다는 전투이다.
<삼지연대기념비>는 백두산, 삼지연못을 배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 요소는 김일성 수령 동상, 헌시비, 봉화탑, 부주제군상 오른쪽에 세워진 <진격의 나팔수>, <조국>편(20상), <숙영>편(7상), 왼쪽에 세워진 <흠모>편(26상), <진군>편(27상), 뒤쪽 못 가운데 세워진 <조국의 물>편(5상)이 있다. 김일성 동상은 군복 차림으로 작전을 지휘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중 봉화탑은 주체사상을 상징하고, 주체사상의 기치 아래에서 항일혁명투쟁이 조직적으로 전개되고 역사적 승리를 이룩하였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으며, <진격의 나팔수>는 무산지구전투의 승리를 상징하고 있다.
북한 미술계에서 <삼지연대기념비>는 무산지구전투라는 북한의 역사적 사건에 대한 상징성을 내포한 기념비미술로 평가받고 있다.
관련어
기념비미술
,
대기념비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이미지
삼지연대기념비
삼지연대기념비2
이미지명 : 삼지연대기념비
이미지명 : 삼지연대기념비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