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칼춤 [Sword Danc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민속무용
9분류 작품
집필자 한경자
시기1984년
제작자피바다가극단
정의
전통적인 칼춤 형식의 하나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형상한 여성 군무이다. 전투생활무용, 무술훈련무용이다.
내용
<칼춤>은 오랜 역사를 가진 민속무용으로 사람들이 칼을 만들어 쓸때부터 그것을 손에 익히기 위해 하였던 훈련 과정에서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칼날이 긴 장검무와 달리 칼날과 손잡이가 따로 연결되어 잘랑잘랑 소리를 내며 손목으로 앞뒤와 옆으로 마음대로 돌리며 거기에서 울리는 독특한 율동적 음향과 특색 있는 기교로 여성들의 애국적 기개와 슬기로움이 잘 나타나 있는 춤이다.
무용음악은 엇모리장단, 신안땅장단 등에 기초하여 민족적 정서가 풍만하고 힘 있는 선율로 형상되고 있다. 작품은 붉은 노을을 배경으로 훈련장으로 나가는 여인들의 늠름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무용은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에서는 양 손에 든 칼날을 느린 음악에 맞추어 돌리면서 검술을 연마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둘째 부분에서는 음악이 빨라지면서 점차 실전의 분위기로 넘어가며 적으로 되는 대상을 앞에 설정하고 여러 가지 재치 있는 칼 쓰기 동작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적들을 무리로 쓸어 눕히며 돌진하듯이 두 칼날을 세우고 좌우로 흔들며 나가는 동작, 상대방의 칼을 막듯이 비껴선 몸자세에서 한 팔을 앞으로 높이 들고 칼날을 휘돌리는 동작, 그리고 무대 양쪽에서 두 여인이 달려 나와 무사의 세련된 칼쓰기의 솜씨를 보여주는 쌍무의 동작 등을 들 수 있다.
순수 칼 놀리는 동작과 기교만을 보여주던 지난날의 <칼춤>과 달리 전투적 기백과 불굴의 기상을 사상적 내용으로 하여 새롭게 만들었다는데 민속무용 <칼춤>의 의의가 있다.
관련어 검무, 검기무, 피바다가극단
관련연구(남) 문화체육부, 『북한의 공연예술단체 운영체계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 문화체육부, 1997.
한경자, 「남북한 검무의 형태와 미적가치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46권 5호, 2007.
관련자료(북) 리순정, 『우리 나라 민속무용』,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1991.
박종성, 『조선민속무용』, 평양: 문예출판사, 1991.
최승희, 『조선민족무용기본』, 평양: 조선예술출판사, 1958.
참고자료 주강현, 『북한의 우리식 문화』, 서울: 당대, 200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칼춤

이미지명 : 칼춤

칼춤2

이미지명 : 칼춤2

칼춤3

이미지명 : 칼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