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림사준 [Rim Sachun]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공예 > 도자기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
1927년 8월 12일
사망일
2007년 4월
출생지
평안남도 남포시 와우도구역 해창동
정의
고려청자를 시대적 미감에 맞게 발전시켜 고려청자의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열어준 것으로 평가 받는 북한의 공예가이다.
용례/관용구
창작활동의 전기간 민족적특성과 현대성이 구현된 진귀한 도자공예작품들을 수많이 창작하여 우리 나라 도자공예발전에 특출한 기여를 한 임사준은 우리 나라는 물론 중국, 일본 등 세계 여러 나라들에 널리 알려져있다.『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초등학교 졸업 후 1941년 남포도자기 공장에서 견습공 생활을 하였다. 1957년 평양도자기공장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57년부터 1961년까지 평양미술대학의 공예도안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1982년 조선미술가동맹 소속 작가가 되었다. 이후 만수대창작사 도자기창작단에서 활동하였다. 림사준은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집행위원, 미술작품국가심의위원회 공예심의원으로 활동하였다.
북한미술계에서 림사준의 도자기는 전통을 현대화 하였다는 점에서 우치선보다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의 대표작은 남포도자기공장 견습공 시기의 <모란상감꽃병>(1948), <석류음각봉황무의부각호로주전자>(1948) 등과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작품 중 <흑색유차세트>(1965), <흐름유장식꽃병>(1984), 198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2등을 수상한 <잉어부각장식꽃병> 등이 있다. 1987년 국가미술전람회 1등 수상작 <함박꽃무늬꽃병>이 있다. 림사준은 1984년 공훈예술가, 1985년 인민예술가의 칭호를 받았다. 1989년 김일성상을 수여받았다.
북한미술계에서 림사준은 전통의 기법을 고수하되, 형태와 무늬 장식에서 전통의 현대화를 시도해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관련어
평양미술대학
,
우치선
,
김일성상
,
공훈예술가
,
인민예술가
동의어
임사준
관련연구(남)
박계리, 「임사준, 고려청자에 시대감성 불어넣다」, 『통일한국』, 제364호, 2014.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역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림사준
림사준2
이미지명 : 림사준
이미지명 : 림사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