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림병삼 [Rim Pyongsam]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유화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32월 6월 24일
사망일1983년 8월 12일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에서는 1984년 사망)
출생지함경남도 함흥시 성천구역
정의
북한에서 최초의 만화영화를 제작하였으며, 영화미술가이자, 유화가이다.
용례/관용구
림병삼의 유화작품들의 특징은 형상의 폭이 크고 세부묘사가 진실하며 서정성이 강한것이다.『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1945년 함흥 황금정소학교를 졸업하고 함흥중학교에서 공부하던 중 평양국립미술학교, 현재 평양미술대학에 입학하였다. 함흥의 미술연구소에서 박영익에게 지도 받았다. 1954년 졸업 이후 3년간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림병삼의 초기 작품은 유화 <베를린 축전>(1954), <아버지의 후회>(1955), <초가을>(1955), <대동문이 보이는 풍경>(1958) 등이다. 1958년부터 2년간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서 북한 최초의 만화영화 <금도끼와 쇠도끼>를 제작하였다. 이후 영화미술을 담당하여 첫 작품인 영화 <돈화의 수림속에서>를 만들었다. 이후 시기별 대표작은 1960년대의 영화 <최학신의 일가>, <온정령>, <밝은 태양아래>, 1970년대 이후의 영화 <꽃파는 처녀>와 <한 자위단원의 운명>, 혁명영화 <사령부를 멀리 떠나서> 등이 있다. 이후 유화 <대동강의 낚시군>(1970), <청류벽>(1970) 등을 제작하였다.
1972년 공훈예술가의 칭호를 수여받았다. 북한예술계는 림병삼의 영화미술에 대해서, 영화장치물의 사실성과 깊이 있는 공간감을 이용하여 다채로운 영화 장면을 창작해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관련어 평양미술대학, 박영익, 공훈예술가, 영화미술
동의어 임병삼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역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림병삼

이미지명 : 림병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