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산문시 [prose poem]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9분류 개념
집필자 이지순
정의
산문시는 인간과 생활에 대한 서정이 산문형식으로 표현되는 서정시의 한 형태이다.
용례/관용구
산문시는 매우 감성적인 어휘표현으로 된 열정적인 주정토로문으로 형상된다. 『광명백과사전 6』, 2008.
내용
산문시는 문장구조나 언어표현이 산문형식으로 된 시이다. 산문시는 인간과 생활을 서정적으로 시화하여 묘사하는 서정시의 하나로서 음악성과 운율성을 가지고 있기에 일반적인 산문과 구별된다. 즉 시행을 나누지 않고 리듬의 단위를 문장이나 문단에 둔다. 산문시는 산문형식을 취하긴 해도 인간과 생활을 소설처럼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시인의 체험을 서정적으로 토로한다. 그러나 서정시 고유의 서정성과 운율을 뚜렷이 살려내지 못하는 제한성을 가지고 있기에 현대 북한 시인들은 거의 창작하지 않는다고 한다.
북한이 꼽는 대표적인 산문시는 조명희가 소련에서 발표한 <짓밟힌 고려>(1928)와 김조규의 <전선주>(1942) 등이다.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문학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0.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문학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0.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