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대동강 [Taedong River]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 서사시
9분류
작품
집필자
이지순
시기
1985년
제작자
오영재
정의
<대동강>은 간석지개간을 소재로 주체형의 공산주의자가 등장하는 장편서사시이다.
용례/관용구
시는 여러 가지 형상 수단들과 수법들을 다양하게 리용하여 기행체서사시의 특성을 특색있게 살려쓰면서 과거와 현재를 대조시켜 주제사상을 뚜렷이 하고 구성의 립체성과 조형미를 보장하고 있다. 『문학예술사전 상』 , 1988.
내용
<대동강>은 머리시, 4개의 편, 맺음시로 구성되어 있는 장편서사시이다.
머리시에서는 대동강에 시를 바치고 싶은 시인의 마음이 표현되고 있다. 1편에서는 대동강의 아름다운 경치를 노래하면서 과거의 재난과 비교하여 언제건설로 격변한 생활을 이야기한다. 2편에서는 대동강을 여러 차례 편답하는 지리학자 최교수의 체험을 통하여 김일성의 업적을 칭송하면서 통일 결의를 다진다. 3편에서는 언제건설자인 수옥과 명훈의 생각의 차이를 대비적으로 보여준다. 4편에서는 대동강 편답 끝에 도달한 평양에서 느끼는 시인의 감격을 노래한다.
북한은 이 서사시가 대동강의 아름다움과 풍요함을 노래하면서 이 땅에 마련된 고귀한 재부의 원천을 높은 시적형상으로 밝혀냄으로써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위대성을 구가한다면서, 기행체 서사시의 특성을 살리는 동시에 과거와 현재를 대조하여 구성의 입체성과 조형미를 보장하였다고 평가한다.
<대동강>은 금성언제에서 남포갑문건설현장에 이르기까지 대동강을 편답하면서 자연개조의 성과와 3대혁명의 실천덕목들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이 서사시에서 인간에게 이롭게 개조된 대동강은 수령의 위대성과 중첩된다. 하늘도 못주던 물을 준 김일성은 바로 하늘이 되며, 대동강은 ‘김일성=하늘’이 준 ‘생명수’로 예찬된다. 대동강의 자연개조 성과와 김일성의 위대성은 대동강과 관련된 과거와 대조되어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으로 연결된다.
<대동강>에서 중요한 것은 역시 ‘대동강처녀’ 수옥과 명훈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리옥과 명훈이 서로 엇갈리게 되는 것은 명훈이 가지고 있는 ‘개인주의’ 혹은 ‘개인적 영웅주의’라고 할 수 있다.
개인주의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사회가 동물의 사회라면 개인이 아니라 집단의 이해관계를 중시하는 북한이라는 사회는 ‘참다운 인간의 사회’임을 끊임없이 ‘수옥’의 언술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노동의 참다운 기쁨과 노동계급의 도덕성에 대한 수옥의 역설은 북한 체제가 북한 주민들에게 요구하는 관념화된 의식이다.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줄이려는 북한의 여러 정책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도·농간의 격차는 날이 지날수록 벌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는 북한 주민들의 구체적인 생활에서 농촌 출신 배우자를 기피하는 현상으로 나타났고, 북한은 <도시처녀 시집와요>와 같은 가요를 통해 농촌이 도시처럼 살기 좋은 곳이라고 선전하기까지 한다. 현장에서 고된 노동에 복무해야 하는 노동자와 농촌에서 일하기를 꺼려하는 젊은이들에게 북한이 제시하는 것은 현실적인 대안체계로서 물질적 보상이라기보다 ‘도덕’과 같은 이념성으로 재무장하게 하는 것이다. 천리마 시대까지는 혁명적 이념성과 사상성으로 개인적 결핍을 보상할 수 있었지만, 수옥과 명훈의 갈등은 이후의 이념성과 개인의 현실적 욕망과의 갈등이라고 할 수 있다.
관련어
오영재
관련연구(남)
이명재, 『북한문학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1995.
관련자료(북)
오영재, 『대동강』, 평양: 문예출판사, 1985.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이명재, 『북한문학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1995.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대동강
대동강
대동강
이미지명 : 대동강
이미지명 : 대동강
이미지명 : 대동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