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상원동을 오르며 [Ascending Sanwond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 서정시
9분류
작품
집필자
이지순
시기
1981년
제작자
김석주
정의
<상원동을 오르며>는 다섯 시인의 서정시를 모은 <묘향산시초> (『조선문학』1981.8)중 한 편이다.
용례/관용구
≪상원동을 오르며≫는 묘향산에 있는 하나의 돌과 나무, 흐르는 내물도 더 없이 아름답고 소중하며 이 세상 그 무엇과도 바꿀수 없다고 노래함으로써 조국의 자연에 대한 숭고한 사랑의 감정을 감명깊게 일반화하였다. 『문학예술사전 상』, 1988.
내용
<상원동을 오르며>는 <묘향산시초> 중 한 편이다. <묘향산시초>는 김석주의 이 시 외에 <사랑의 길을 따라>(리범수), <묘향산의 두봉화>(구희철), <형제폭포에 부치는 노래>(차영도), <비로봉에 올라>(문재건)를 포함한다.
이 시는 종합시집 『금수강산 내나라』(1982)와 김석주의 개인시집 『들꽃』(1985)에 수록되어 있다.
1연 2행, 총 6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제된 표현과 짧은 형식이 특징적이다.
차마 손을 잠그지 못하겠네
물이 흐려질가봐
티끌 하나 못버리겠네
산이 하두 깨끗해
물은 돌을 다듬어 옥같이 희고
옥돌에 담아 물은 구슬이런가
떠나기 아쉬워 떠나면 놓칠같아
걸음도 옮기지 못하겠네
아, 이 돌, 이 물, 이 나무
정없는 산천이라더니 이다지도 유정한가
예 아니 보고 아름다움을 말할가
세상을 다 준대도 내 아니 바꿀 너!
―김석주, <상원동을 오르며> 전문
이 시는 북한에서 묘향산에 있는 하나의 돌과 나무, 흐르는 냇물도 더 없이 아름답고 소중하며 이 세상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고 노래함으로써 조국의 자연에 대한 숭고한 사랑의 감정을 감명깊게 일반화하였다고 평가된다.
김석주의 시는 ‘당의 은혜’보다 묘향산의 풍취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1980년대 서정시에 대한 북한의 논의는 장형에서 단형으로, 산문에서 운문을 강조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김석주의 시는 1980년대가 강조하는 서정시의 양식적 특징을 담았다고 할 수 있다. 단형의 형식과 기존의 장황한 수식을 지양한 절제된 시어를 보여준다. 그러나 서정성이 강화되었다고 해서 사상성이 감소된 것은 아니다. 자연을 통해 국토애를 드러내는 것은 궁극적으로 당과 조국의 은혜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시인은 자신의 내면세계를 개방하여 시대정신과 인간의 정신세계를 밝혀야 하기 때문이다. 목적도 지향도 없는 단순한 흐름으로서의 정서가 아니라, 뚜렷한 사상의 표현이자 사색의 결실로서 정서가 드러날 것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김정일동지의 조국과 인민에 대한 뜨거운 사랑이 있었기에 묘향산의 등산길이 훌륭히 개척되고 조국의 아름다움이 더욱 빛을 뿌리게 되었다”는 <묘향산시초>에 대한 북한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김석주의 이 시 또한 국가의 은혜와 사랑이라는 자장 안에서 해명되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관련어
김석주
,
묘향산 시초
관련자료(북)
조성관, 「시문학의 서정성에 대한 생각」, 『조선문학』, 10호, 1985.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김석주, 『들꽃』, 평양: 문예출판사, 1985.
참고자료
조성관, 「시문학의 서정성에 대한 생각」, 『조선문학』, 10호, 1985.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 종합출판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