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엄도만 [Om Toman]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출판미술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15년 3월 29일
사망일1971년 9월 3일
출생지서울시 종로구 효제동
정의
엄도만은 생활 주변의 소재를 주제로 삼아 그림을 그렸던 화가이다. 수채화, 삽화, 만화 등 출판 미술 영역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내용
1929년 서울 주교공립보통학교를 졸업, 종로의 중앙청년학교에 입학했으나 중퇴하였다. 청년학교에 다니던 중 김종태에게 그림을 배웠다. 1932년 서울 동양옵세트인쇄회사에 취직하였다. 1936년부터 유한양행 미술부장으로 일하며 그림을 주문받아 제작하였고, 3년 후 림군홍의 소개로 중국의 한구미술광고사 미술부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미술 공부를 위해 일본 도쿄에 갔다가 돌아와 베이징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6.25 전쟁 시기 서울미술제작소에서 초상화를 제작하다가 월북하였다. 이후 조선미술제작소, 농민신문사에서 유화와 출판미술을 제작했다. 전후에 조선미술가동맹에서 활동하다가 1955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1931년 유화 <자화상>(1930)이 서화협회전람회에 입선하였다. 유화 <항구풍경>(1943), <북경고궁>(1945) 등의 초기 작품은 북한 미술계에서 형식주의적인 경향에 대해 지적받았다. 해방 이전에는 중국에서 4회의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엄도만은 출판미술 영역에서 수채화, 도서장정, 삽화, 만화 등을 제작하였다. 대표작은 수채화 <우리 어머니>(1958), <오침>, <자전거 선수>, 조선화 <새옷>(1961)등으로 생활 주변의 소재를 소박하게 그려낸 작품들이다. 엄도만의 선전화는 상징적인 표현이 특징적으로, <1955년도 인민경제계획의 완수 및 초과완수를 위하여 앞으로!>(1955), <7개년계획의 첫 전투에서 승리자가 되자!>(합작, 1961)를 예로 들 수 있다.
관련어 선전화, 조선미술제작소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